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2℃

  • 인천 -1℃

  • 백령 6℃

  • 춘천 -3℃

  • 강릉 4℃

  • 청주 1℃

  • 수원 1℃

  • 안동 -2℃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3℃

  • 전주 1℃

  • 광주 3℃

  • 목포 4℃

  • 여수 6℃

  • 대구 1℃

  • 울산 6℃

  • 창원 5℃

  • 부산 8℃

  • 제주 7℃

코엑스~잠실 복합개발 갑자기 왜?

코엑스~잠실 복합개발 갑자기 왜?

등록 2014.04.02 16:47

수정 2014.04.02 17:16

성동규

  기자

공유

박원순 시장 강남 표심잡기 비난서울시, 정치와 무관 실무적 판단 반박대기업 특혜시비···용산전철 우려도

코엑스-잠실 국제교류 복합지구 개발사업 예시도. 사진=서울시 제공코엑스-잠실 국제교류 복합지구 개발사업 예시도. 사진=서울시 제공


코엑스-잠실을 비롯해 사업 용지만 약 12만㎡에 달하는 국제교류 복합지구 개발사업이 표퓰리즘에 편승해 발표한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용산개발 사업 재추진에 난색을 보이는 등 대규모 개발 사업을 지양해 온 박원순 시장의 지난 행보와 대치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박 시장이 최근 서울시장 예비후보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에 지지율을 역전당한 것과 개발 사업 발표시기가 맞물리면서 의혹은 확산되고 있다. 박 시장의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낮은 강남 유권자 표심을 잡기 위한 계산이 깔려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정치 논리와 별개로 실무적 판단에 의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제교류 복합지구 개발사업 용역 준공은 내달이지만 최근 한국전력이 삼성동 용지 매각에 속도를 내면서 용도변경을 미룰 수 없어 발표 시기도 앞당겼다는 것이다.

◇강남 노른자위 땅 대기업 독식하나 = 한국전력 용지 매각에 대한 계획이 이르면 이달 말쯤 나올 예정이다. 한전은 정부가 공공기관의 자체개발을 금지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신탁, 자산유동화(ABS)증권 발행, 리츠(REITs) 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사옥은 총면적 7만9324㎡(약 2만4000평)로 장부가액만 2조원에 육박한다. 최근 서울시가 코엑스 일대 개발 계획 청사진을 발표하면서 매각 기대가격은 더 올랐다.

업계에서는 이미 3조원 안팎으로 형성된 매각가가 3종 일반주거지역이 일반상업지역이나 준주거지역으로 바뀌면서 최대 4조원까지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은 물론 중국, 미국 등 외국계 기업까지 한전 용지에 관심이 높다.

실제 삼성그룹은 지난 2011년 한전 옆 옛 한국감정원 본사를 2436억원에 매입했고, 현대차그룹은 좌초된 성수동 뚝섬을 대신할 곳을 모색하는 중이다.

미국계 카지노그룹인 라스베이거스 샌즈의 셜던 아델슨 회장도 지난달 말 한전 용지 매입 의사를 타진하고 있고, 중국 최대의 부동산 개발기업인 녹지그룹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런 탓에 대기업 특혜시비가 자연스럽게 불거졌다.

특혜 시비가 일자 서울시는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제도를 적용, 기부채납을 받아 공공성을 살리는 동시에 중견사 등을 비롯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세부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재계에서는 땅값만 최대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는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여력이 있는 중견사는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구로의 종 상향 자체가 더 많은 이익을 보장하는 셈”이라며 “기부채납만으로는 특혜 시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코엑스와 킨텍스 제로섬 게임 벌어지나 = 마이스(MICE) 시설에 대한 과잉·중복투자 우려도 제기됐다. 마이스는 기업회의, 인센티브 관광, 국제회의, 전시회의 영문 첫 알파벳을 딴 신조어다. 마이스 시설 수요는 한정적인 상황에서 경기도와 인천 등 인근 지역은 물론 전국적으로 대규모 마이스 복합단지가 잇달아 들어서면서 제로섬 게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경기도는 지난해 초 한국관광공사와 오는 2017년까지 ‘한류관광 마이스 복합단지’ 계획을 수립한 상태다. 한류월드와 킨텍스를 포함, 330만5785㎡(100만평) 규모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을 추진 중이다. 인천도 송도컨벤시아를 조성중이다.

전국 11곳에 이르는 1만㎡ 이상 대형 전시컨벤션센터와도 경쟁해야 한다. 사실상 마이스 산업은 포화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자치단체들간 출혈경쟁도 벌어지고 있다.

올해 10월 창원에서 열릴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나 내년 경기도에서 열릴 ‘국제전기차 심포지엄 및 전시회’ 등의 사례만 살펴보면 전국 자치구들의 치열한 유치 경쟁으로 ‘덤핑 공세’라는 극단적인 전략까지 동원됐다.

더구나 코엑스는 최근 2~3년간 경영실적이 악화하는 추세다. 코엑스의 지난해 매출액은 431억원으로 전년(590억원)보다 27%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19억원에서 6090만원으로 줄어 희망적인 관측을 어렵게 했다.

일각에서는 철저한 타당성 조사와 현실적인 세부사업 계획을 수립하지 않는다면 자칫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수요예측은 이미 지난해 10월 발표한 ‘서울 마이스 마스터플랜’ 실천계획을 수립하면서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됐다”며 “선거가 가까워 지면서 이번 마련한 계획이 정치적 이슈로 전락한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