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10일 목요일

  • 서울 15℃

  • 인천 15℃

  • 백령 15℃

  • 춘천 17℃

  • 강릉 15℃

  • 청주 18℃

  • 수원 16℃

  • 안동 18℃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16℃

  • 전주 16℃

  • 광주 18℃

  • 목포 12℃

  • 여수 18℃

  • 대구 21℃

  • 울산 22℃

  • 창원 21℃

  • 부산 21℃

  • 제주 18℃

펀드 강세에도··· 한 풀 꺾인 롱숏펀드

펀드 강세에도··· 한 풀 꺾인 롱숏펀드

등록 2015.03.06 14:17

김민수

  기자

공유

작년 말부터 설정액·수익률 감소 추세중소형주 강세·변동성 확대로 불확실성 커져최근 지수 반등 조짐도 인가 하락 ‘부채질’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국내증시와 저금리 기조에 지난해 인기상품으로 떠올랐던 롱숏펀드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채권 및 해외주식을 중심으로 펀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자금 이탈이 오히려 심화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하면서 추세가 완전히 꺾인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펀드 강세에도··· 한 풀 꺾인 롱숏펀드 기사의 사진


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4일까지 국내 롱숏펀드에서 유출된 자금은 2814억원이다. 같은 기간 5807억원이 들어온 국내채권펀드나 각각 830억원, 1462억원이 유입된 해외주식펀드, 해외채권펀드와는 큰 차이를 보이는 중이다.

지난해 상반기만 하더라도 롱숏펀드에 대한 열기는 다른 어떤 재테크 상품보다도 뜨거웠다. 은행금리가 1%대까지 하락하고, 국내 주식시장도 박스권을 면치 못하면서 중위험·중수익을 노릴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012년말 1773억원에 불과했던 롱숏펀드 설정액은 작년 4월 2조5000억원을 돌파하며 급속도로 몸집을 키웠다.

롱숏펀드는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을 매수하고(롱 전략),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종목은 차입 후 매도해(숏 전략) 중간 수준의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돼 시장 변동성에 상관없이 ‘시중금리+a’의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으로 각광받았다.

하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대형주 대신 중소형주의 변동 폭이 커졌고, 배당주 및 가치주 같은 기존에 주목받지 못했던 종목들이 부각되면서 롱숏펀드의 수익은 점차 하락세를 보였다. 또한 이에 실망한 투자자들이 해당 상품 환매에 나서면서 설정액 역시 가파르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결과적으로 한 때 2조5000억원을 상회하던 롱숏펀드 설정액은 지난해 말 1조9000억원으로 20% 이상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익률도 최근 3개월 기준 전체의 60%가 넘는 상품들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기도 했다.

아울러 이 같은 흐름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2월까지 벌써 2600억원이 빠져나간 롱숏펀드 자금은 3월에도 4거래일 만에 151억원이 빠져나는 등 자금 유출이 계속됐다.

수익률 또한 현재 설정된 68개 상품 가운데 44개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부진이 지속되는 모습이다.

한편 시장에서는 이 같은 추세가 최근 국내증시의 반등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각국의 잇따른 양적완화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증가하자 주요국 증시는 물론 코스피도 상승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지난 1월까지 1920~1950선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코스피지수는 설 연휴를 전후해 오름세를 보이며 최근 2000선에 도달하는 등 고점을 점점 끌어올리는 중이다.

공매도를 통해 수익을 실현하는 숏 전략은 주가가 오르면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던 지난해 7~8월에도 롱숏펀드는 코스피가 강세를 보이면 반대로 설정액과 수익률은 하락세로 돌아선 바 있다.

때문에 전문가들 사이에선 수익률에 실망한 기존 투자자들이 작년 말부터 지속적으로 환매에 나서고 있는 만큼 현재 분위기를 전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에 대해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충분한 수익을 본 투자자들이 다른 펀드 상품으로 갈아타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며 “주가 강세도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롱숏펀드가 예전의 인기를 회복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수 기자 hms@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