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송유관 건설시 美철강재 사용” 행정명령中 저가공세·캐나다 반덤핑 관세 등 악재 잇따라4월 환율조작국 지정 앞두고 弱달러 지속도 부담
업계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후보시절 내세운 공약 이행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해외 철강재에 대한 직접적 관세 확대는 물론 환율전쟁에 따른 유탄까지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설득력을 얻는 모양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24일(현지시간) 미국 내 모든 송유관 건설에 들어가는 철강재를 미국산으로 제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와 함께 캐나다와 미국을 잇는 ‘키스톤XL 송유관’과 ‘다코타 대형 송유관’ 신설과 관련해서도 재협상을 요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행정명령에 담긴 미국산 철강은 ‘모든 제조 과정이 미국에서 이뤄진 것’을 의미한다. 미국산 제품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원료는 물론 소재, 반제품 모두 미국 현지에서 조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시장에 송유관을 수출하는 국내 기업들에게도 악재가 될 전망이다. 한국의 지난해 미국향(向)당 철강 수출은 374만톤에 달했다. 이 가운데 송유관 수출은 47만톤이며, 매년 10만톤 가량의 송유관을 수출하던 현대제철과 세아제강이 가장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번 행정명령이 실제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미국산 철강재만 사용할 경우 비용 인상이 불가피한 수요자들을 중심으로 부정적 반응이 이어지고 있고, 행정명령 자체가 세계무역기구(WTO) 조항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제조업과 수출산업 강화를 위한 달러 약세화 정책을 지속하는 것 역시 부담이다.
앞서 이달 초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연방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감이 소멸된 가운데 미국 재무부 또한 ‘환율조작국’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중이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미국 조달시장 진출에 불이익을 받는 것은 물론 무역보복조치가 차례로 이뤄지게 된다.
이에 세계 각국은 환율조작국 지정을 피하기 위해 대미 수출액 관리에 나서고 있다. 한국 역시 해당 기준에 자유롭지 않은 만큼 원화 강세(달러 약세)를 용인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달러 가치가 하락할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수출품의 가격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 결국 국내 철강업체들은 공급처 축소에 이어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 감소까지 이중고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국내 철강업체들이 이에 대한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점이다. 중국 철강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은 미국시장마저 피해가 현실화되면 더 큰 위기가 찾아올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이에 대해 업계의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내려졌지만 시행까지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구체적인 범위도 나오지 않아 상황을 예의주시중”이라면서도 “업계 전반의 불확실성이 적지 않은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hm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