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당국 “가상자산사업자 폐업 대비해 코인·예치금 인출해야”

금융당국 “가상자산사업자 폐업 대비해 코인·예치금 인출해야”

등록 2021.09.17 18:10

차재서

  기자

공유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금융당국이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상 신고 기한을 일주일 앞두고 소비자를 향해 미신고 사업자의 폐업 가능성에 각별히 주의해줄 것을 당부했다.

17일 금융위원회 측은 “신고기한인 24일까지 약 1주밖에 남지 않은 만큼, 이용 중인 가상자산사업자의 신고 여부, 폐업 또는 영업중단 계획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폐업·영업중단 시 예치금·가상자산을 돌려받기 어려울 수 있으니 사업자가 폐업 또는 영업전부중단 예정이라면 즉시 이용을 중단하고 예치금·가상자산을 인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신고 계획이 불분명해 보이는 등 불안한 경우에도 선제적으로 예치금·가상자산을 인출하고 지켜보는 게 안전하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특금법에 따라 가상자산사업자는 오는 24일까지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획득 ▲은행 실명확인 입출금 계정 개설 등 요건을 갖춰 FIU에 신고해야 한다. 신고 없이 영업한 사업자는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다만 지금까지 최소 요건인 ISMS 인증을 획득한 가상자산 거래업자는 66곳 중 28곳, 지갑 사업자는 12곳에 불과하다. FIU에 신고 서류를 제출한 사업자도 시중은행과 실명계좌 제휴에 성공한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대형사 4곳뿐이다.

금융위 측은 “사업자가 기한 내 신고를 했더라도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면 신고가 수리되지 않을 수 있다”면서 “사업자의 신고수리 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가상자산사업자가 예치금·가상자산의 인출 요청 등을 거부·지연 하거나, 갑작스러운 영업중단 등 사례가 발생하면 금융정보분석원과 금융감독원, 경찰 등에 즉시 신고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