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6일 일요일

  • 서울 7℃

  • 인천 8℃

  • 백령 5℃

  • 춘천 5℃

  • 강릉 6℃

  • 청주 7℃

  • 수원 7℃

  • 안동 9℃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7℃

  • 전주 7℃

  • 광주 7℃

  • 목포 6℃

  • 여수 10℃

  • 대구 12℃

  • 울산 11℃

  • 창원 11℃

  • 부산 11℃

  • 제주 11℃

“NFT 아트 플랫폼부터 도우미 로봇까지” 삼성이 쏟아낸 혁신기술

[CES 2022]“NFT 아트 플랫폼부터 도우미 로봇까지” 삼성이 쏟아낸 혁신기술

등록 2022.01.04 20:21

수정 2022.01.05 07:41

김정훈

  기자

공유

스마트싱스 기반 ‘팀삼성’ 콘셉트로 차별화된 연결 경험 선보여‘NFT 아트 플랫폼’ 탑재한 Neo QLED 선보여 주목‘AI 아바타’, ‘삼성 봇’으로 사용자 맞춤형 미래 홈 제안AR 등 최첨단 기술 활용, 안전하고 즐거운 운전 경험 제시

CES 202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의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16m와 8m에 달하는 2개의 LED 사이니지 월을 이용한 ‘쇼윈도’ 콘셉트의 미디어 월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CES 202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의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16m와 8m에 달하는 2개의 LED 사이니지 월을 이용한 ‘쇼윈도’ 콘셉트의 미디어 월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라스베이거스(미국)=뉴스웨이]김정훈 기자=삼성전자는 5일부터 7일까지(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2’를 통해 고객 경험을 연결하는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고 4일 밝혔다.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LVCC)에 참가업체 중 가장 넓은 3,596㎡(약 1,088평) 규모로 전시관을 마련한 삼성전자는 16m와 8m에 달하는 2개의 LED 사이니지 월을 이용해 ‘쇼윈도’ 콘셉트의 미디어 월을 선보였다.

미디어 월은 최신 촬영 기법과 디스플레이를 통해 마치 여러 개의 쇼윈도우가 눈앞에 펼쳐진 듯이 구성했으며 기조연설 주제인 ‘미래를 위한 동행’을 표현하는 다채로운 영상이 재생된다.

◆TV·가전·모바일까지 하나로 ‘팀 삼성’=방문객들이 대형 파사드를 지나 삼성 부스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팀삼성 존’을 만나게 된다.

팀삼성은 삼성전자가 차별화된 AI·IoT 기술을 기반으로 선보이는 활동으로 TV, 가전에서 모바일 제품까지 다양한 기기를 스마트싱스(SmartThings)로 연결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하나의 팀처럼 유기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개념이다.

이번 CES에서는 ▲‘IoT 허브’ 기능으로 간편하게 스마트 홈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2022년형 스마트 TV ▲사용자의 선호도와 냉장고에 있는 식자재를 분석해 최적의 레시피를 추천해주고 조리기기와 연결해 주는 ‘스마트싱스 쿠킹’ ▲최대 2개월간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해 에너지 절약 계획을 세워주는 ‘스마트싱스 에너지’ 등을 선보인다.

◆TV 라인업 총출동···새로운 폼팩터 스크린도 공개=삼성전자는 CES 2022에서 다양한 TV 라인업을 소개한다. 현존 최고 디스플레이 기술을 집약해 출시한 ‘마이크로 LED’ 110형에 이어 이번 CES에서 101형과 89형 2개 모델을 최초로 공개한다.

2022년형 마이크로 LED는 최고의 화질 외에도 ▲별도의 공사 없이 간편한 설치 ▲압도적 대화면의 가치를 높여 줄 ‘아트 모드’, ‘멀티 뷰’ 기능 ▲ 더 강력해진 사운드 시스템 등을 제공해 소비자 편의와 사용성을 높였다.

2022년형 NEO QLED는 화질, 사운드, 스마트 기능 등 TV의 핵심요소를 모두 강화했으며, ‘인 홈 액티비티’에 최적화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새롭게 개편된 ‘스마트 허브’를 도입하고,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콘텐츠를 구매하고 편하게 감상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NFT 플랫폼’을 선보인다. NFT 플랫폼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혁신성을 인정받아 ‘CES 최고혁신상’을 수상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CES에서 새로운 콘셉트의 신제품도 전격 공개한다. TV를 설치하기 어려운 공간에 ‘나만의 스크린’을 만들어 주는 독특한 콘셉트의 제품과 급격히 성장하는 게이밍 시장을 공략하는 새로운 폼팩터의 스크린이 4일 오후 6시 30분(현지시간)에 진행되는 CES 2022 기조연설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사진 오른쪽부터)CES 202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의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인터랙션 로봇인 ‘삼성 봇 아이’와 ‘AI 아바타’, 가사 보조 로봇인 ‘삼성 봇 핸디’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사진 오른쪽부터)CES 2022가 열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센터의 삼성전자 전시관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인터랙션 로봇인 ‘삼성 봇 아이’와 ‘AI 아바타’, 가사 보조 로봇인 ‘삼성 봇 핸디’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새로운 ‘삼성 봇’ 공개···최첨단 기술 활용한 운전 경험 제안=삼성전자는 이번 CES에서 라이프 컴패니언(Life Companion) 로봇 2종도 선보인다. 인터랙션 로봇인 ‘삼성 봇 아이’와 가사 보조 로봇인 ‘삼성 봇 핸디’를 전시해 사용자의 영상 회의를 준비해주거나 저녁 식사를 위한 테이블 세팅을 해주는 등의 시나리오를 선보인다.

삼성 봇 아이는 이번 CES에서 처음으로 공개하는 로봇으로, 사용자 곁에서 함께 이동하며 보조하는 기능과 원격지에서 사용자가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텔레프레즌스(Telepresence) 기능을 탑재했다.

또한 삼성 독자의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AI 아바타’는 집을 하나의 메타버스와 같은 디지털 세계로 형상화하고, AI 아바타가 현실 세계에서의 고객 위치를 UWB(초광대역통신) 위치 인식 기술로 파악해 가장 가까이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고객과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이 밖에도 삼성전자는 CES 2022에서 삼성전자의 IT·가전기술과 하만의 전장 기술을 접목해 운전자와 탑승자가 가까운 미래에 경험할 수 있는 안전하고 즐거운 차량내 운전 경험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예를 들어 미래 차량에서는 AR(증강현실)기반으로 운전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운전정보, 내비게이션, 도로상황, 위험상황 등의 꼭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내부의 카메라를 갤럭시 폰과 갤럭시 워치의 ‘삼성헬스’ 서비스에 연동해 스트레스, 졸음, 주의 산만 등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조명, 공조 등 차량 환경을 변화시키고 숲, 바다 등의 영상을 재생해 최적의 컨디션으로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맞춤형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정훈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