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국섬진흥원 오동호 원장 "출범 3년 본격 성과 내는 해···국제적 섬 연구기관 자리매김"

[신년사]한국섬진흥원 오동호 원장 "출범 3년 본격 성과 내는 해···국제적 섬 연구기관 자리매김"

등록 2023.01.02 15:08

수정 2023.01.02 15:32

김재홍

  기자

공유

1월 2일 시무식 열고 올해 첫 업무 '스타트'성과 중심의 조직 혁신···스마트 아일랜드 사업 기반 구축도

한국섬진흥원은 2일 한섬원아카데미홀에서 시무식을 갖고 새해 첫 업무를 시작했다.한국섬진흥원은 2일 한섬원아카데미홀에서 시무식을 갖고 새해 첫 업무를 시작했다.

한국섬진흥원(KIDI, 원장 오동호)이 2023년 '계묘년(癸卯年)' 새해를 기점으로 국제적인 섬 전문 국책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한다.

한국섬진흥원은 2일 한섬원아카데미홀에서 시무식을 갖고 새해 첫 업무를 시작했다.

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으로 방역수칙을 준수한 채 이뤄진 행사는 신년인사와 기념촬영, 주간업무보고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오동호 원장은 "출범 초기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지만 초대원장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기관 운영 기틀 및 체계를 수립하고자 노력했다"면서 "적은 인력, 부족한 환경에서도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해준 전 직원 분들이 있었기에 현재의 한섬원이 있는 것"이라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이어 "'한국섬진흥원 발전, Grand Design' 수립, '한섬원 창의공간' 조성, 국내외 교류협력 네트워크 구축, '한국섬포럼' 성료, '한섬원아카데미' 시범운영 등 경영·교류 분야 등 주요 성과을 창출하고, 교통·인구·통계 등 실사구시적 정책연구 수행, 섬 발전사업 추진·컨설팅 기반 구축, 평가전문기관으로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소회했다.

올해 한국섬진흥원의 운영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국제적인 섬 전문 국책 연구기관으로의 위상 정립 ▲성과를 내는 조직 운영 ▲한섬원 구성원 모두가 행복한 조직으로의 혁신 등이다.

오 원장은 신년사를 통해 "일본 이도센터와 유럽의 에게해 지역 등 반도국가 다도해를 연구·진흥하는 기관간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라면서 "섬 허브 클러스터 'KIDI PLAYS' 기반을 마련해 국제적인 섬 전문 국책 연구기관으로 위상을 정립하겠다"고 밝혔다.

조직 운영과 관련, 오 원장은 "출범 3년차 조직으로서 본격 일하는 미래지향적 조직 개편을 실시, 성과 중심의 인사를 진행할 예정"이라면서 "부서의 미션 달성여부와 엄격한 성과평가 후 실팀장 보직 등을 부여하고, 특별승진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 원장은 "한섬원을 도전과 열정의 'Dreaming KIDI'로 만들기 위해 맞춤형 복지제도, 유연근무제 도입, 직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 확대 등 한국섬진흥원 구성원 모두가 행복해 하는 조직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정책연구·진흥사업과 관련해서는 선순환 연계 모델 및 스마트 아일랜드 사업 기반 구축,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섬 특성화 사업 등을 통해 섬지역 활력 제고에 기여한다는 복안이다.

또 매월 1회 이상 개최하고 있는 '찾아가는 섬 현장포럼'을 통해 현장 중심, 현안 연구를 강화하고 '이달의 섬', '찾아가고 싶은 섬' 등과 연계, 섬을 알리고 홍보하는 데도 힘쓸 예정이다.

한편, 지난 2021년 10월 8일 출범한 한국섬진흥원은 전국의 섬 육성, 정책개발과 보전·관리에 관한 연구·조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정부 부처별로 분산된 섬 정책을 책임지는 행정안전부 산하 국책 연구기관이다.

뉴스웨이 김재홍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