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당금 적립 여파에 은행 수익성 '뚝' 비은행 중심의 장기적 성장기반 확보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은 그룹 차원에서 보험사 인수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시장에서 꾸준히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막판에 손을 떼긴 했지만, 최근엔 한 사모펀드와 손잡고 ABL생명 인수를 검토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BNK금융은 핵심 자회사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을 비롯해 증권, 자산운용, 벤처투자, 저축은행 등 여러 계열사를 중심으로 다방면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하지만 타 금융그룹과 달리 보험사를 보유하지 않았다는 점은 종합금융그룹 도약을 선언한 BNK금융엔 늘 숙제로 여겨져 왔다.
이에 빈대인 BNK금융 회장은 "종합금융그룹이 되려면 은행과 증권사, 보험사를 보유해야 한다"면서 "보험이 빠진 BNK금융은 미완성 상태라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인터넷 전문 손해보험회사나 해외 손해보험회사 인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JB금융도 그룹 CEO의 경영철학에 발맞춰 증권업 진출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 중이다. 김기홍 회장은 자본시장 역량 확대 차원에서 증권사 인수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누차 강조한 바 있다. 무엇보다 내부등급법 도입 등 노력으로 과거에 비해 그룹의 재무구조가 눈에 띄게 향상된 만큼 투자 여력도 충분하다는 게 그룹의 판단이다.
지금도 JB금융 안에 증권사가 없는 것은 아니다. 김 회장은 취임 직후인 2019년말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의 베트남 증권사를 사들이는 데 성공했고 'JB증권 베트남'으로 사명을 바꿔 현지 시장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향후 증권사를 인수하게 된다면 그 경험과 노하우가 사업을 본궤도에 끌어올리는 데 도움을 줄 전망이다.
이처럼 지방금융사가 비은행 인수에 신경을 쏟는 것은 은행 이자이익에 의존했다간 더 이상 미래를 담보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금리 기조 속 상승한 연체율이 충당금 부담으로 이어지면서 은행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여파에 이들 금융그룹에도 먹구름이 꼈다. 실제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올 3분기 BNK금융은 2131억원, JB금융은 1598억원 등 작년에 비해 부진한 순이익을 내는 데 그칠 것으로 진단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 17.5%와 4.3% 줄어든 수치다.
따라서 지방금융사 역시 비은행 사업 중심으로 전략을 수정해 장기적 관점으로 수익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물론 적정한 매물을 택해야 한다는 점은 이들 금융그룹이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지목된다.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실하지 않은 기업을 인수하고자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다간 자칫 그룹 전반에 리스크가 전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KDB생명과 MG손해보험의 매각 작업이 좀처럼 탄력을 받지 못하는 것이나 BNK금융이 ABL생명 인수를 포기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덧붙여 증권사의 경우 좀처럼 매물이 나타나지 않은 실정이다. 경영권 매각을 선언한 회사가 없음에도 우리금융과 OK금융, Sh수협은행 그리고 JB금융에 이르기까지 원매자는 넘쳐나면서 실체 없는 경쟁이 계속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DGB금융의 '전국구 도약' 선언으로 금융그룹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BNK금융과 JB금융 등 다른 지방금융사도 돌파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면서 "한동안 비은행 부문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