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 서울 14℃

  • 인천 15℃

  • 백령 12℃

  • 춘천 14℃

  • 강릉 13℃

  • 청주 17℃

  • 수원 15℃

  • 안동 14℃

  • 울릉도 13℃

  • 독도 13℃

  • 대전 17℃

  • 전주 18℃

  • 광주 16℃

  • 목포 17℃

  • 여수 16℃

  • 대구 16℃

  • 울산 16℃

  • 창원 17℃

  • 부산 16℃

  • 제주 16℃

증권 하이證 효자 노릇하던 부동산 PF···'신용등급 하향' 폭탄에 '털썩'

증권 증권일반

하이證 효자 노릇하던 부동산 PF···'신용등급 하향' 폭탄에 '털썩'

등록 2023.11.27 17:14

수정 2023.11.27 18:12

안윤해

  기자

공유

하이證 3분기 PF 익스포저 9801억원···자기자본比 70.1%한기평 "하이證 등급 전망 A+ 긍정적→안정적으로 하향"

하이證 효자 노릇하던 부동산 PF···'신용등급 하향' 폭탄에 '털썩' 기사의 사진

하이투자증권의 실적 공백을 채워주며 효자 사업으로 꼽혔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이 뇌관으로 떠오르면서 시한폭탄으로 전락했다. 한국기업평가(한기평)는 하이투자증권에 대해 투자은행(IB) 부문 실적 둔화와 대손비용 부담으로 수익성이 저하되고 부동산 경기 침체로 PF 익스포저 건전성 관리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27일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하이투자증권의 3분기 부동산 PF 익스포저는 9801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70.1%로 나타났다. 이 중 브릿지론 비중은 57%, 중후순위 비중이 73% 달하고 있다. 여기에 브릿지론은 본PF 전환 지연되면서 부실 위험이 높아지고 있고 본PF의 경우에도 중후순위 및 비아파트 비중이 높아 건전성 저하위험이 높은 수준이다.

이에 한기평은 하이투자증권의 등급전망을 'A+ 긍정적'에서 'A+ 안정적'으로 하향했다. 통상 신평사에서 긍정적(Positive) 평가의 의미는 중장기적으로 등급의 상향 가능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안정적(Stable)은 등급의 중기적인 변동 가능성은 낮지만, 사업의 안정성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실제로 하이투자증권은 올해 하반기 실적에서 겨우 적자를 면한 수준이었다. 하이투자증권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6억원, 당기순이익은 8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189억원, 151억원 대비 각각 91.5%, 94.7%씩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특히 회사의 올해 IB 부문 수익은 전년 대비 72% 감소했으며, 지난 3분기까지 PF 관련 충당금은 약 521억원이 쌓였다. 지난 3분기 누적 순이익 역시 336억원으로 전년 대비 462억원 감소했고 총자산순이익률(ROA)도 0.4%로 수익성이 저하됐다.

엎친데 덮친격 하이투자증권은 올해 부동산 PF 꺾기 의혹으로 홍역까지 앓고 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8~15일 하이투자증권에 대한 서면 조사를 마치고 이날부터 현장 검사에 돌입했다.

하이투자증권은 지난달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 부동산개발업체에 대출을 내주는 조건으로 30억원 상당의 자사 부실 채권을 팔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또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부문을 키워냈다고 평가받는 김진영 사장은 흥국증권에 다니는 아들에게 15조원 규모의 기업어음(CP)을 몰아준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를 의식한 하이투자증권은 지난 14일 부동산금융 부문의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김 사장은 내부 감사를 거쳐 면직 처리했다. 부동산금융 조직은 ▲프로젝트금융실 ▲구조화금융실 ▲부동산금융실 ▲투자금융실 등 네 개로 개편하고 대표이사 직속으로 편제했다. 투자심사 업무의 관리·감독 강화를 위해 리스크관리본부 내 리스크감리부도 신설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번 조직개편과 인사조치가 금융감독원의 제재에 대비해 수위를 낮추려는 전략으로 보고 있으며, 회사의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 비중(81.4%)이 현저히 높아 폭탄을 떠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효섭 한국기업평가 책임연구원은 "증권업황 부진에 따른 수익 감소와 PF익스포저 건전성 악화로 수익성이 저하됐다"며 "PF시장 침체로 IB부문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PF 관련 대손부담으로 당분간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전망했다. 이어 "PF 익스포저의 양적, 질적 부담이 비교군(Peer) 대비 큰 편으로 PF 익스포저 중심의 자산건전성 저하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부동산 꺾기는 없었다"며 "지난 6월부터 5개월 간 자체적으로 부동산 PF 관련 내부감사, 인사위원회를 진행했던 만큼 이번 금감원의 현장 검사는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징계 인사 및 조직 개편은 제재 수위를 낮추기 위한 것이 아니며 내부 감사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부연했다.

뉴스웨이 안윤해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