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알루미늄 관세 현실화, 포스코 직격탄 우려이차전지소재 사업도 악화, 구조조정 속도 올려'역대급 위기' 맞은 포스코, 올해 생존 전략 관건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 들어오는 모든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예고하고 나섰다. 그의 관세 포고문 서명에 따라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다음 달 12일부터 적용된다. 또, 트럼프 1기 시절 각국과의 합의는 폐기된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국내 철강업계가 우려하는 부분은 기존 한국에 적용됐던 '쿼터제'에 더해 추가로 25% 관세가 부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앞서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해외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지만, 한국에는 관세 대신 수출 물량을 줄이는 쿼터제를 적용했다. 이에 한국은 대미 수출량 263만톤(t)에 대해서 무관세 쿼터를 받아 지금까지 유지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조치와 관련해 모든 국가가 예외 없다고 공언함으로써 한국 기업도 직격타를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업계에서는 현재 정해진 쿼터 물량에 더해 추가로 25%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이 적용되는 것을 최악의 시나리오로 보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점차 현실화되면서 국내 철강업계 맏형 격인 포스코의 고심도 깊어져 가고 있다. 특히나 포스코의 수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절반에 달해, 관세 정책의 악영향을 피하기 위한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포스코는 미국 현지 제철소를 인수하거나 현지 합작 법인을 설립하는 등의 여러 생산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그룹 쌍두마차 사업으로 손꼽히는 이차전지소재 사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전날 주주총회에서 자회사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의 해산을 결의, 청산인 선임을 통한 청산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절차가 마무리되면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은 포스코홀딩스 자회사에서 탈퇴할 예정이다.
포스코씨앤지알니켈솔루션은 포스코홀딩스와 중국 이차전지소재 업체 CNGR이 각각 6대 4 지분을 투자해 설립한 니켈 생산 합작회사다.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5월 포항 영일만4산업단지에 고순도 니켈 생산을 위한 정제 공장을 착공했으나 실제 건설 공사는 시작하지 않은 상태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이차전지 수요가 둔화하면서 사업 재조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해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지소재 사업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여러 차례 진행했다. 그룹 배터리 소재 계열사인 포스코퓨처엠은 합작법인 음극재 소재사 피앤오케미칼을 매각했고, 이후 중국 화유코발트 기업과 함께 건설하기로 했던 니켈·전구체 합작공장 구축 계획도 전면 철회했다. 전기차 캐즘으로 이차전지소재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관련 투자에 속도를 조절하고 있는 행보다.
경영 환경이 계속해서 악화하자 포스코는 위기 극복 차원에서 고강도 포트폴리오 구조조정에 힘을 주며 옥석을 가려낸다는 방침이다. 현재 '첩첩산중' 상황인 포스코가 올해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을지 여부에 눈길이 쏠린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근 열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지난해 이어 올해 비핵심자산 위주 구조조정 등과 같은 '선택과 집중' 사업 전략으로 현금 창출을 이끌어 낼 것"이라며 "또, 미래 성장 투자와 필수 투자는 지속하되 내실 있는 투자를 하겠다"고 올해 사업 전략을 말했다.
![](https://nimage.newsway.co.kr/assets/image/photo/opinion/yee9611.png)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