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24일 월요일

  • 서울 1℃

  • 인천 1℃

  • 백령 2℃

  • 춘천 3℃

  • 강릉 3℃

  • 청주 2℃

  • 수원 1℃

  • 안동 3℃

  • 울릉도 3℃

  • 독도 3℃

  • 대전 3℃

  • 전주 2℃

  • 광주 3℃

  • 목포 2℃

  • 여수 5℃

  • 대구 4℃

  • 울산 4℃

  • 창원 5℃

  • 부산 5℃

  • 제주 6℃

산업 中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그후···'협상 주도권' 뒤바뀌나

산업 중공업·방산

中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그후···'협상 주도권' 뒤바뀌나

등록 2025.02.24 15:29

황예인

  기자

공유

20%대 예상 뒤집고 38% 부과···철강업계 '호재'조선업계 '울상'···단가 상승으로 수익 타격 우려후판값 협상에도 영향 갈 수도···업계 관심 쏠려

中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그후···'협상 주도권' 뒤바뀌나 기사의 사진

최근 정부에서 중국산 후판을 대상으로 관세 조치를 결정함에 따라 국내 철강업계에 숨통이 트였지만 조선업계는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이번 관세 결정으로 향후 후판 협상에서 주도권이 뒤바뀔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정부는 국내로 유입되는 중국산 저가 후판에 최대 38%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의 저렴한 철강 제품 공세로 국내 철강업계의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특단의 조치를 빼 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관세율은 업계 예상치(20~25%)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후판은 두께 6㎜ 이상의 강판으로, 비교적 두꺼운 열간압연 강판에 속한다. 선박을 비롯해서 건축, 해양구조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곳에 활용되기 때문에 현대사회에 필수 소재로 손꼽힌다. 국내 철강 3사(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도 주요 기초소재인 후판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산 저가 물량으로 수익성에 타격을 입은 국내 철강업계는 이번 반덤핑 관세 조치로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현재 중국산 후판은 톤(t)당 78만5000원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국내 제품(약 90만원)보다 10만원 가량 저렴하다. 하지만 이번 관세 조치가 현실화되면 국산 후판이 중국산보다 10% 이상 값싸질 것으로 보이면서 향후 수익성 개선에도 힘이 실릴 전망이다.

다만 정부의 후판 관세 결정에 조선업계는 오히려 울상이다. 조선 산업에서 후판은 선박 제조 원가의 20%가량을 차지하고 있는데, 관세 조치가 확정되면 선박 건조 비용이 높아져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는 두 업계 간 후판 가격 협상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우선 조선업계의 경우 보세구역(사용신고)을 활용해 관세 없이 후판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있지만 전체 유통 가격의 거품이 빠지면서 결국 가격 협상에 발목이 잡힐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철강기업은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협상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존 중국산 후판을 이용하던 수요기업을 상대로 후판 가격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되면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이 높아진다.

일반적으로 조선·철강 업계 간의 후판 값 협상은 1년에 상반기·하반기 두 차례로 진행하고 있다. 2023년 상반기 후판 가격은 톤(t) 당 약 100만원, 하반기에는 90만원 중반대로 합의됐다. 이후 지난해 상반기에는 90만원 초반대로 가격을 인하했다.

현재 철강업계와 조선업계는 지난해 하반기 후판 가격에 대한 협상을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 어느 때보다 두 업계 간의 이견차가 팽팽함에 따라 협상은 이미 해를 훌쩍 넘긴 상황이다.

정부의 특단 조치로 철강업계와 조선업계 간 협상 과정에서의 입장이 뒤바뀔 거란 시각이 우세한 가운데, 관세 결정이 이번 협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될지 여부가 관심이 쏠린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중국산 후판 관세 조치가 실현되면 철강업계와 조선업계 협상 과정에 있어 각 긍정적·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일단 작년 하반기에 대한 후판값 협상도 매듭짓지 못했기 때문에 그 부분부터 원활한 타협점을 찾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