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하락 인지 시점 불일치 확인회계 처리 규정 위반 의혹 조사 강화홈플러스, 회계 심사에서 감리로 강화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은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을 열고 홈플러스 사태 TF 조사 현황을 공개했다. 이날 함 부원장은 "신용평가 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기업 회생 신청 경위 및 신청 등에 대해 그간 MBK와 홈플러스의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되는 등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며 "회계 심사와 관련해서도 회계 처리 기준 위반 개연성이 발견되어 이번 주부터 감리로 전환해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지난달 19일 함 부원장 산하에 불공정거래조사반, 검사반, 회계감리반, 금융안정지원반으로 구성된 홈플러스 사태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기업 회생 신청과 관련한 사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TF는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인지 시점과 단기채권 발행 과정, 회생 절차 준비 과정 등을 규명하는 전방위 조사를 진행 중이다.
MBK와 홈플러스는 법정관리 신청을 준비한 시점이 지난 2월 28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금감원은 해당 설명이 사실과 다른 점을 포착했다면서도 구체적인 신용등급 강등 인지 시점을 못 박지는 않았다. 함 원장은 "'그날(2월 28일)이 아니라 이날이다'라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사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그 날짜 이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정도로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홈플러스에 대한 회계 처리 기준 위반 가능성을 발견하고 감리로 전환했다. 금감원의 회계 관련 검사는 심사와 감리로 나뉘는데, 감리는 심사보다 위반의 정도가 강도 높은 단계다. 함 부원장은 "이번 주에 홈플러스에 대한 회계 심사를 감리로 전환했다"며 "보다 세밀히 보고 있다"고 했다.
이날 금감원은 MBK파트너스에 대한 공세도 이어갔다. 함 원장은 "홈플러스는 일부 점포에 대한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으면서 구체적인 해명 없이 모든 이해관계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는 모호한 표현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스스로 약속한 전액 변제, 대주주 사재 출연 등에 대해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하고 현재의 규모 및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이해관계자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민연금이 투자한 홈플러스의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대해선 난처한 기색을 보였다. 홈플러스는 국민연금이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투자한 RCPS를 부채에서 자본으로 전환해 피해 논란이 발생했다. 자본으로 전환하면 자금의 회수 가능성이 현저히 적어지기 때문이다. 국민연금은 회계 처리 변경 여부는 인지하지 못했고, MBK파트너스가 독자적으로 전환했다고 알려져 있다. 함 부원장은 "국민연금은 일반 투자자가 아닌 기관 투자자"라며 "국민연금이 스스로 판단할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