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분기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5000억원 감소투자 사업장 7.71%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 발생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에 부동산 시장 개선 지연
금융권별로는 보험 30조4000억원(54.3%), 은행 12조원(21.5%), 증권 7조7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5%), 여전 2조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1000억원(61.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럽 10조8000억원(19.4%), 아시아 3.8조원(6.8%), 기타 및 복수지역이 7조1000억원(12.7%)으로 뒤를 이었다. 만기별로는 올해까지 12조원(21.5%), 2030년까지 42조5000억원(76.2%)의 만기가 도래한다.
지난해 9월말 기준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3000억원 중 2조6400억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특히 3분기 중에도 400억원 증가하는 등 EOD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다.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미국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오피스 시장은 구조적 요인(유연근무 확산 등)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
국내 금융회사도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다. 다만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조속히 마무리하기로 했다. 또한 투자 관리 역량 확보 하에 해외 대체투자가 이뤄지도록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특이동향이 발생했거나 익스포져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이뤄지도록 지도하고 적정 손실 인식 등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