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 서울 24℃

  • 인천 23℃

  • 백령 22℃

  • 춘천 20℃

  • 강릉 18℃

  • 청주 18℃

  • 수원 18℃

  • 안동 20℃

  • 울릉도 24℃

  • 독도 24℃

  • 대전 22℃

  • 전주 22℃

  • 광주 21℃

  • 목포 22℃

  • 여수 21℃

  • 대구 21℃

  • 울산 21℃

  • 창원 21℃

  • 부산 22℃

  • 제주 23℃

산업 바이오 이끌고 반도체 밀고···3분기 제조업, 소폭 회복 전망

산업 산업일반

바이오 이끌고 반도체 밀고···3분기 제조업, 소폭 회복 전망

등록 2025.07.13 19:17

수정 2025.07.13 19:20

권한일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국내 제조업 경기 3분기 소폭 회복 전망

업종별로 회복세와 부진 온도차 뚜렷

시장 전반 여전히 조심스러운 분위기

숫자 읽기

3분기 제조업 시황 BSI 93, 매출 BSI 95로 기준치 100 미달

신산업 매출 전망 BSI 103, 바이오·헬스 108, 무선통신기기 106, 디스플레이 102

반도체 매출 전망 BSI 97로 전분기보다 6p 상승

화학 94, 자동차 91, 일반기계 94, 가전 94로 부진 예상

맥락 읽기

내수 침체와 재고 누증이 제조업 경영 최대 애로

대외 공급망 불확실성, 금융시장 변동성도 부담 요인

대형업체 전망 BSI 하락, 중소업체 보합세

신산업·무선통신기기 매출 확대 기대↑화학·자동차 하락···"내수 침체·재고 누적, 최대 고민"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이 4공장 배양기를 점검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직원이 4공장 배양기를 점검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국내 제조업 경기가 3분기에 소폭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바이오·헬스,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에서 뚜렷한 회복세가 기대된 반면, 화학·자동차 업종은 부진할 것으로 보여 업종별 온도차가 확연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연구원(KIET)이 13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시황(93)과 매출(95) BSI가 각각 기준치인 100을 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황 전망은 전 분기 91에서 2포인트(p) 상승했지만 내수(94) 전망치가 전 분기 수준에 그쳤고, 수출(96→94)이 소폭 하락했다. 설비투자(97)와 고용(97)은 전분기와 같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산업연구원 BSI는 지난달 9일부터 20일까지 국내 15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100(전 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 분기보다 증가(개선)한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했다는 의견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전망 지수가 일제히 기준선인 100을 넘지 못한 점은 여전히 조심스러운 시장 분위기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3분기 기대감을 이끄는 건 신산업과 바이오·헬스,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 업종이다. 신산업 매출 전망 BSI는 103으로 3분기 만에 100을 회복했고, 바이오·헬스(108)와 무선통신기기(106), 디스플레이(102)도 기준선을 상회하며 확실한 반등 기대감을 보여줬다.

특히 전통적인 주력 업종인 반도체 분야에서도 온기가 감지된다. 반도체 매출 전망 BSI는 97로, 전분기보다 6p 상승했다. 정유(91→97), 이차전지(87→94) 등도 뚜렷한 개선 흐름이 기대됐다.

반면 화학(100→94), 자동차(92→91), 일반기계(96→94), 가전(95→94) 등은 전분기 대비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 유형별로는 중소업체 전망 BSI(94)가 전분기 수준에서 보합세를 보인 반면, 대형업체는 102에서 99로 하락했다. ICT 부문(98)도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여전히 기준선에는 미치지 못했다.

제조업계의 가장 큰 고민은 내수 침체와 재고 누증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체 응답자의 53%가 '내수 부진과 재고'를 경영활동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고, '대외 공급망 불확실성'(37%), '금융시장 변동성'(28%)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업계에선 새 정부에 '내수 안정화 지원'(50.9%)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요청했다. '금융시장 안정화'(37.9%)와 '물가 관리 강화'(34.1%)도 주요 정책 과제로 꼽았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올해 3분기 매출 전망 BSI는 바이오․헬스,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등에서 100을 상회하면서 매출 증가 기대감을 시사한다"며 "전 분기보다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정유,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등의 업종에서 상승세를 보였고 나머지 업종에서는 소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