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서울 24℃

인천 25℃

백령 25℃

춘천 25℃

강릉 24℃

청주 26℃

수원 25℃

안동 24℃

울릉도 27℃

독도 27℃

대전 24℃

전주 27℃

광주 24℃

목포 27℃

여수 27℃

대구 27℃

울산 26℃

창원 27℃

부산 26℃

제주 28℃

부동산 산재 뭇매에 건설업계 '좌불안석'··· 국감 코앞 긴장감 고조

부동산 건설사

산재 뭇매에 건설업계 '좌불안석'··· 국감 코앞 긴장감 고조

등록 2025.09.04 13:49

권한일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숫자 읽기

2023년 4분기~2024년 2분기 건설현장 사망자 92명

대우건설 9명, 포스코이앤씨 8명,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각 7명

올해 현대엔지니어링 6명, 포스코이앤씨 4명 등 사망사고 발생

현재 상황은

국회 상임위별 증인·참고인 채택 검토 진행 중

대형건설사·코레일·이랜드건설 등 소환 가능성 거론

과거 2년간 누적 사망사고까지 분석해 증인 선정 중

주목해야 할 것

중대재해·임금체불 관련 기업 집중 소환 예상

정부, 공공기관 10곳 합동 임금체불 단속 중

여당·정부, 산업재해·체불 임금 근절 의지 강조

사망사고 92명 집계··· CEO·총수 증인 채택 가능성 고조임금체불 문제까지 겹쳐 정치권 '집중포화' 예고

지난달 14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평가원에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에 건설사 대표들이 자리하고 있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지난달 14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평가원에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에 건설사 대표들이 자리하고 있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내달 열리는 2025년도 국정감사를 앞두고 건설업계 최고경영자(CEO)와 총수 소환 가능성에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과거 하도급 갑질과 꼼수 계약, 하자 문제가 국감 핵심이었지만, 이번에는 중대재해 사고와 임금체불 문제가 증인 채택 리스트에 강하게 부상했다.

4일 국회 각 상임위원회에 따르면 내달 예정인 국정감사를 앞두고 각 의원실 등에선 증인과 참고인 채택 대상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

아직 건설사 CEO의 채택은 공식 확정되지 않았으나 국토교통위원회와 환경노동위원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등에서 건설사 CEO들이 잇따라 소환된 전례를 고려할 때 이번에도 비슷한 움직임이 예상된다.

특히 올해는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 더불어민주당 등 여당이 산업재해 예방과 임금체불 문제 해결에 강력한 의지를 보이면서 관련 사고가 발생한 대형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소환 통보가 집중될 전망이다.

올해 들어 9월 4일까지 현대엔지니어링(사망자 6명), 포스코이앤씨(4명), 현대건설(2명), HDC현대산업개발(2명), 삼성물산·GS건설·DL건설 등에서 현직 대표나 사고 책임자였던 인물들의 증인 출석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대형 건설사뿐 아니라 최근 작업 중 7명의 사상자가 나온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4월 이후 단기간에 3명의 현장 사망자가 발생한 이랜드건설도 국감장에 설지 주목된다.

환노위 소속 일부 의원실은 최근 2년여간 현장 사망사고 현황을 분석하며 사고 원인과 발생 빈도를 토대로 증인 채택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위 신영대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4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건설 현장 사망자는 92명에 달한다. 대우건설(9명), 포스코이앤씨(8명), 현대건설(7명), 현대엔지니어링(7명), HDC현대산업개발(3명) 순이다.

사망사고뿐 아니라 최근 정부가 대대적으로 단속에 나선 임금체불 문제도 국감 증인 채택의 주요 변수다. 대통령과 여당 중진 의원들이 임금체불 근절에 강한 의지를 표명한 가운데 국토부와 고용노동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 10곳을 대상으로 합동 단속을 벌이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국감 시즌이 다가올 때마다 대표 소환 가능성에 긴장한다"며 "가용 가능한 모든 대관 자원을 총동원해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회 환노위 소속 한 의원실 관계자는 "과거부터 최근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감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아직 증인 명단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