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 부채, 실적 부진 '발목'MBK, 5000억 자금 투입에도 '미지근'M&A 실패 땐 자산 매각·청산 가능성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과 매각주관사 삼일PwC는 지난 2일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스토킹호스' 방식에서 공개 경쟁입찰로 전환한다고 공고했다.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일은 이달 31일이며 예비 실사와 본입찰은 다음 달 초로 예정돼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뒤 6월 법원 허가를 받아 매각 절차에 착수했다. 초반에는 유력 후보와 조건부 계약을 체결해 매각 안정성을 높이는 '스토킹호스' 방식이 검토됐지만 시장의 반응이 저조해 일반 경쟁입찰로 선회했다.
하지만 시장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문제는 매각 방식이 아니라 오프라인 유통업 자체의 수익성 악화"라며 "인수자 입장에선 확실한 회생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홈플러스의 유동성 위기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다. 일부 점포는 전기료 연체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2021년부터 연간 1000억원 이상 영업손실을 기록해왔고 이자비용과 차입금 상환 부담이 영업이익을 웃돌며 재무구조는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실적 부진 속에 순차입금은 올해 2월 말 기준 약 2조144억원에 달한다. 이는 인수자가 단순히 홈플러스를 사들이는 수준이 아니라, 대규모 부채까지 떠안아야 함을 의미한다. 매출은 연 6조원대에 머물지만 수익성이 낮아 점포 유지와 신규 투자에 제약이 따르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오는 11월 10일까지 회생계획안 제출을 완료하고 그 전에 원매자 유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김병주 MBK 회장은 지금까지 개인 증여금 400억원, DIP 대출 연대보증 780억원에 더해 지난달 2000억원의 추가 자금 지원을 약속하며 총 5000억원 이상을 홈플러스 회생에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변수도 많다. 홈플러스는 매각과 병행해 임대료 협상이 결렬된 15개 점포의 폐점을 검토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등 정치권의 개입으로 일시 중단됐다. 수만 명의 고용과 협력업체 생계가 걸려 있는 만큼 인수자가 최종적으로 폐점 여부를 결정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권 이해관계도 녹록지 않다. 메리츠로부터 받은 대출의 리파이낸싱, 국민연금이 보유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정리 등을 위해서는 공적 자금 혹은 국책은행의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시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이달 말까지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매각 일정은 연말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고 인가 전 M&A마저 무산되면 자산 분리매각이나 청산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조효정 기자
quee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