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3일 목요일

  • 서울 8℃

  • 인천 8℃

  • 백령 8℃

  • 춘천 5℃

  • 강릉 7℃

  • 청주 6℃

  • 수원 8℃

  • 안동 6℃

  • 울릉도 7℃

  • 독도 7℃

  • 대전 8℃

  • 전주 9℃

  • 광주 9℃

  • 목포 8℃

  • 여수 9℃

  • 대구 7℃

  • 울산 10℃

  • 창원 9℃

  • 부산 10℃

  • 제주 12℃

자본비율 검색결과

[총 10건 검색]

상세검색

환율 상승으로 은행 자본비율 하락···작년 말 BIS 비율 13.07%

금융일반

환율 상승으로 은행 자본비율 하락···작년 말 BIS 비율 13.07%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환율 상승으로 하락했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3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12월 말 보통주자본비율은 13.07%로 3분기 말 대비 0.26%포인트(p) 하락했다.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은 각각 14.37%, 15.58%로 전분기말 대비 각각 0.28%p, 0.26%p 하락했으며 단순기

고환율·불황에 자본비율 압박까지···기업대출 돌파구는?

은행

[은행권 新경영전략]고환율·불황에 자본비율 압박까지···기업대출 돌파구는?

지난해 4분기 은행의 기업대출이 8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하면서 시장 안팎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대출 수요가 줄어든 데다 은행도 위험가중자산(RWA) 관리를 위해 기업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해서다. 일각에선 은행의 생산적인 자금 공급이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 기업대출은 상반기엔 가파르게 증가하다가 4분기 들어

"계열사 리스크 빼고 산출"···자본비율 꼼수 부린 금융지주

은행

[금감원 은행 검사 발표]"계열사 리스크 빼고 산출"···자본비율 꼼수 부린 금융지주

일부 금융지주들이 자본비율을 산출하면서 책임준공형 토지신탁을 미인식 하는 등 관련 위험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4일 오전 발표한 '2024년 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결과'에 따르면 A·B금융지주의 보통주자본비율은 10~20bps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책임준공형 사업장의 비중이 높은 계열 신탁사에서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도 자본비율 산출 시 관련 위험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신탁사는 시공

"우려와 기대 사이"···'코코본드' 늘리는 금융지주들

은행

"우려와 기대 사이"···'코코본드' 늘리는 금융지주들

주요 금융지주들이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코코본드)를 잇따라 발행하며 자본 확충에 열을 올리고 있다. 환율 상승 등으로 위험가중자산(RWA)이 급격히 늘면서 자본비율 하방 압력이 커진 결과다. 금융지주들은 대규모 코코본드 발행으로 안정적인 자본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한편에선 고금리 부담으로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B금융지주는 오는 22일 4050억원 규모의 코코

이자 이익 쪼그라들고 규제 조여들고···내년 금융지주사 '시계 제로'

은행

이자 이익 쪼그라들고 규제 조여들고···내년 금융지주사 '시계 제로'

올해 주요 금융지주들이 역대급 호실적을 달성했지만 내년 경영환경은 '시계 제로'에 빠져들고 있다. 본격적인 금리인하로 이자 이익 감소가 불가피한 데다 금융당국의 규제까지 강화되고 있어서다. 대내외 경영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면서 금융지주들의 속내가 복잡해지는 모양새다. 금리 인상 사이클을 타고 가파르게 성장했던 금융권의 순이자마진(NIM)이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둔화되고 있다. 대손비용 하락, 유가증권 매매평가익 개선

"가뜩이나 어려운데"···환율 급등에 은행권 외화환산손익 적자 우려

은행

"가뜩이나 어려운데"···환율 급등에 은행권 외화환산손익 적자 우려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돌파하면서 은행권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화환산손실 규모가 커지고 외화 위험가중자산(RWA) 증가로 자본비율 하락도 불가피해서다. 이에 금융지주들은 비상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내부 논의에 착수했지만 뾰족한 방책은 없는 상황이다. 23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원·달러 환율은 1440원대를 돌파했다. 지난 19일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내년 기준금리 인

"남들 다올랐는데"···우리‧NH농협‧카뱅 자본비율 '뚝'

은행

"남들 다올랐는데"···우리‧NH농협‧카뱅 자본비율 '뚝'

지난 9월 말 기준 국내 대부분의 금융지주와 은행들이 견조한 이익을 앞세워 자본비율을 높였다. 반면 우리금융지주와 NH농협금융지주, 카카오뱅크의 자본비율은 되레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9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15.85%)이 전분기 말 대비 0.09%포인트(p) 상승했다고 27일 밝혔다.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은 각각 13.33%, 14.65%로 전 분기말 대비 각각 0.15%p, 0.15%p 올랐다. 단순기본자본비율(6.79%)도 전분기말 대

신한은행, 신종자본증권 4000억원 발행···자본비율 0.20%P 상승

은행

신한은행, 신종자본증권 4000억원 발행···자본비율 0.20%P 상승

신한은행은 신종자본증권(조건부자본증권) 4000억원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신종자본증권은 5년 후 중도상환이 가능한 영구채로 금리는 고정금리 연 4.19%다. 신한은행은 이번 신종자본증권을 2700억원 규모로 발행할 계획이었으나 기관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로 7480억원(2.8배수)의 유효 수요가 몰려 최종 발행금액을 4000억원으로 증액했다. 신한은행은 인수단과의 소통, 적극적인 IR을 통해 다양한 기관의 참여를 이끌

지난해 국내은행 자본비율 상승···이자이익 증가·증가 효과

지난해 국내은행 자본비율 상승···이자이익 증가·증가 효과

지난해 국내은행의 순이익이 확대되면서 BIS기준 자본비율도 상승했다. 금융감독원이 30일 발표한 '2021년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을 보면 국내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 및 단순기본자본비율이 각각 12.99%, 14.19%, 15.53%, 6.51%로 집계됐다. 보통주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총자본비율은 전년 말 대비 각각 0.54%p, 0.72%p, 0.53%p 상승했다. 이는 대출증가 등으로 위험가중자산이 증가했지만 이익 확대

은행 BIS비율 ‘양호’···일각선 “자금흐름도 신경써야”

은행 BIS비율 ‘양호’···일각선 “자금흐름도 신경써야”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건전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 말 잠정 국내은행 BIS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이 각각 13.89%, 11.46%, 10.98% 수준이다.2013년 12월부터 도입된 바젤 Ⅲ에 맞춰 국내 은행들은 각별히 자본비율을 챙기고 있다. 바젤 Ⅲ는 기존 BIS 비율 8% 이상 기준은 그대로 두되 보통주자본비율은 4.5% 이상, 기본자본비율은 6% 이상으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