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사 간 이동 자유롭게”···‘인커리어’ 제도 도입정기 인사서는 외부 인재 수혈하고 HQ 체제 전환업계 “실질적 효과 의문···연봉·승진 더 우선 돼야”
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내년 1월부터 그룹 내부 인재 경력 개발 플랫폼인 ‘인커리어’를 운영하기로 했다.
그룹사가 인커리어에 구인 공고를 내면 소속사에 상관없이 지원할 수 있으며 자유로운 지원을 위해 지원 사실이나 채용 전형 과정은 보안이 유지된다. 또 최종 이동이 결정되면 원소속사는 이를 막을 수 없다. 이는 회사가 이동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의 의사결정에 따른다는 점에서 기존 계열사 전보와는 차이가 있다.
롯데가 인커리어를 도입한 이유는 인재 이탈을 방지하고 직원들의 경력 관리를 지원하자는 취지에서다.
신 회장은 이번 인커리어 도입에 앞서 변화와 쇄신을 위한 특단책으로 그룹 요직에 외부 인재를 속속 앉히는 조치를 내렸다. 지난해 내부 인재를 발굴하는 데 집중한 것과는 완전히 상반된 행보였다.
이와 함께 그룹 경영관리 체계는 기존 비즈니스 유닛(BU·Business Unit) 체제에서 헤드쿼터(HQ·HeadQuarter) 체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HQ 체제에서는 사업군과 계열사의 중장기 사업전략을 수립하는 것뿐만 아니라 재무와 인사 기능도 보강해 사업군의 통합 시너지를 도모할 계획이다.
새 HQ 체제에서는 김상현 전 DFI 리테일 그룹 대표이사와 안세진 전 놀부 대표이사가 유통과 호텔 사업군의 총괄대표로 각각 선임됐다. 백화점 사업부 대표로는 신세계 출신의 정준호 롯데GFR 대표가 새 대표로 선임됐다. 지난해 외부 출신으로 롯데마트 대표 자리에 오른 강성현 대표는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그러나 업계는 신 회장이 내놓고 있는 위기 타개책이 롯데그룹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없다고 지적한다.
외부 인재 영입 측면에서는 순혈주의를 타파하는 전례 없는 인사로 그룹 내에 경종을 울렸다는 평이다. 하지만 새로운 인물들의 이력과 관련, 그룹의 쇄신을 이끌 수 있을지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유통 총괄을 맡은 김상현 부회장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사업에서의 경력이 주된 인물이고 안세진 호텔 사업 총괄 또한 전통 호텔리어 출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도입하기로 한 인커리어 제도 또한 내부 인재의 이탈을 얼마나 막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롯데는 계열사 구분 없이 직무 역량만 맞다면 롯데쇼핑에서 롯데케미칼로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의 시각은 다르다. 유통에서의 구매 업무와 화학에서의 구매 업무도 완전히 다를뿐더러 연봉도 확실하게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어느 누가 자신이 쌓아온 인맥과 이미 적응한 시스템을 버리고 이동을 하겠느냐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계열사 이동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지부터가 의문이다. 예컨대 쇼핑과 케미칼같은 경우 ‘구매’라는 직무는 같더라도 업태가 완전히 달라 전혀 다른 업무로 봐야 한다”며 “인사나 총무같은 지원부서 정도만 계열사 간 이동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진짜 내부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우선 ‘급여’를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다. 사실상 ‘직무’ 때문에 이직하는 경우는 드문 만큼 성과에 대해 확실하게 보상을 해준다는 지표인 연봉과 승진이 우선시돼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는 롯데가 그룹 전반에 성과를 중시하는 풍토와 그에 걸맞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직원들이 직무 때문에 이직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면서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월급, 승진과 같은 보상을 확실히 주고 회사의 비전을 보여줘야 하는데, 인커리어가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제도라는 것은 다소 의문스럽다”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김민지 기자
km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