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日 의존도 낮추자···5년간 반도체 원재료 '中 의존도' 높아져"

"日 의존도 낮추자···5년간 반도체 원재료 '中 의존도' 높아져"

등록 2022.10.04 12:01

이지숙

  기자

공유

정운천 "수입처 다변화 노력, 소부장 기술 국산화해 자립도 높여야"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 5년간 반도체 주요 원재료의 중국 의존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운천 의원(국민의힘)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 7월까지 반도체 주요 원재료 5개 품목의 중국 수입액과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반도체 주요 원재료 5개 품목은 ▲실리콘웨이퍼 ▲불화수소 ▲네온 ▲크립톤 ▲제논 등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반도체 원재료 5개 품목의 총 수입액은 ▲2018년 18억1075만 달러 ▲2019년 18억8156만 달러 ▲2020년 16억9110만 달러 ▲2021년 19억4479만 달러 ▲2022년 1~7월 15억5017만 달러로 매년 소폭 증가와 감소를 반복했다.

반면 같은 기간 5개 품목의 중국 수입액은 170% 상승했다. 2018년 1억3981만 달러에서 2019년 1억6739만 달러, 2021년 1억8479만 달러로 증가하더니 올해 7월까지 수입액은 3억7797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다. 5개 품목 총 수입액의 중국 비중은 ▲2018년 7.7% ▲2019년 8.9% ▲2020년 8.3% ▲2021년 9.5% ▲2022년 7월 24.4%로 5년 만에 3배 가까이 늘었다.

원재료별로 살펴보면 실리콘웨이퍼의 경우, 전체 수입액은 줄었지만 중국 수입액은 약 2배가 늘었고, 총 수입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3%에서 2021년 6%, 올해 7월에는 10%까지 커졌다.

불화수소의 경우, 전체 수입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중국 수입액도 함께 줄었지만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2%에서 지난해 70%, 올해 7월 기준 78%로 증가했다. 일본 수입이 대폭 감소하면서 그만큼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네온, 크립톤, 제논 등 반도체 필수 소재 희귀가스들은 다른 품목에 비해 중국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 네온의 중국 수입액 규모는 5년 만에 100배가 늘었고,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18%에서 84%로 커졌다.

크립톤의 중국 수입액은 5년 만에 300배가 증가했고,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에서 31%까지 늘었다. 제논 역시 수입액은 약 30배가 늘었고 비중은 5%에서 37%까지 상승했다.

정운천 의원은 "지난 정부에서 반도체 원재료 수입의 대일 의존도를 줄이다 보니 그만큼 대중 의존도가 더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반도체 공급망이 중국에 편중되면 '제2의 요소수 사태'가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수입처 다변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궁극적으로 소재·부품·장비 기술 국산화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서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