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손보·자산운용과 美 AI 센터 설립교보 '오너 3세' 신중하 상무는 AI활용 담당으로삼성생명, 금융 AI 센터→AI 센터로 격상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가 내부 전산실(IaaS포함)에 위치한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해 외부통신망(인터넷망)에 위치한 클라우드(생성형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제 특례를 부여했다. 한화생명 'AI 기반 가상대화 솔루션'과 교보생명 '보장 분석 AI 서포터'가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
이는 클라우드를 활용해 생성형 AI의 내부망을 이용하는 것으로 고객과 내부 임직원은 외부 생성형 AI를 내부 정보처리시스템과 연계해 맞춤형으로 금융상품 추천, 질의응답 및 상담, 금융시장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임직원은 맞춤형 업무지원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토대로 한화생명 보험설계사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고객 상담을 준비할 수 있게 됐다. 한화생명의 솔루션은 고객 니즈에 맞춘 상담을 가능하게 하고 정확한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혁신성과 소비자 편익성을 인정받았다.
한화생명은 일찌감치 AI 연구에 힘을 쏟아 왔다. 지난 2014년 국내 보험사 중 가장 먼저 빅데이터 TF(태스크포스)를 꾸렸고 올해 6월에는 AI 연구소를 설립했다. 이달 3일에는 한화손해보험, 한화자산운용과 함께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한화 AI 센터(HAC)'를 설립했다. AI 센터는 앞으로 한화그룹 금융부문 AI 연구의 전초기지 역할을 할 예정이다.
교보생명의 보장 분석 AI 서포터는 AI 기반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방대한 보험 보장 분석을 쉽게 요약해 설계사에게 핵심 사항만 제공한다. 시책이나 설계사의 경력과 상관없이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보장 내용을 간편히 제안할 수 있다.
아울러 교보생명은 임직원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생성형 AI를 도입하기로 했다. 성과관리 및 리크루팅 등 매니저 업무지원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법무·인사 등 사내 업무 관련 내용 질의·응답 등 서비스도 지원한다.
교보생명은 신창재 의장의 장남인 신중하 씨를 최근 정기인사에서 AI활용·VOC데이터담당 겸 그룹경영전략담당(상무)으로 선임하며 디지털 전환에 힘을 싣고 있다. 신 상무는 2021년 교보정보통신(현 교보DTS)으로 자리를 옮겨 디지털혁신(DX)신사업팀장으로 일하다가 이듬해 5월 교보생명에 차장으로 입사했다. 그룹디지털전환(DT)지원담당, 그룹데이터전략팀장을 맡으면서 그룹의 데이터 체계 구축 및 DT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수립함으로써 그룹 내 DT 가속화를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했다.
삼성생명은 지난 6일 조직개편을 통해 금융 AI 센터를 AI 센터로 격상하고 사장 직속으로 편재했다. 초대 AI 센터장에는 직전까지 삼성카드 마케팅본부장을 지낸 최정훈 부사장을 영입했다. 최 부사장은 삼성카드에서 디지털 전문가로 정평이 난 인물로 2017년 삼성카드에 합류한 이후 디지털마케팅담당 임원을 지냈다. 2021년 21월까지는 DT센터장을 역임하고 이후 새로 개편한 디지털혁신실장을 맡으면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최 부사장의 영입으로 삼성생명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보험사들이 AI에 힘을 주는 이유는 본업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데다, 수익 창출 등 신성장동력으로 삼을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 내 생성형 AI를 활용한 시장규모는 2022년 14억달러에서 2032년 274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시장의 경우 2022년 3억달러에서 2032년 55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6월 보험연구원의 '데이터 활용·거래 현황과 보험회사 과제' 세미나에서 김희웅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생성형 AI는 신사업 기획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손재희 보험연구원 연구원은 "보험산업은 생성형 AI 활용을 통해 업무생산성 향상, 리스크 및 시장 분석 모델 고도화, 소비자경험 제고 등의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도 " AI의 활용은 보험산업 내 혁신과 시장 확대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AI 역기능의 가시화와 이와 관련된 규제 강화로 시장 내 현실화는 더디게 진행될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뉴스웨이 김민지 기자
km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