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12일 일요일

  • 서울 -7℃

  • 인천 -8℃

  • 백령 -1℃

  • 춘천 -11℃

  • 강릉 -4℃

  • 청주 -7℃

  • 수원 -8℃

  • 안동 -10℃

  • 울릉도 5℃

  • 독도 5℃

  • 대전 -6℃

  • 전주 -4℃

  • 광주 -4℃

  • 목포 -2℃

  • 여수 -1℃

  • 대구 -2℃

  • 울산 -1℃

  • 창원 -2℃

  • 부산 -1℃

  • 제주 3℃

산업 기술력 높이고 핵심 자원 무기화···공세에도 굳건한 中 배터리

산업 에너지·화학 차이니즈 인베이전

기술력 높이고 핵심 자원 무기화···공세에도 굳건한 中 배터리

등록 2025.01.12 06:03

김현호

  기자

공유

中배터리 점유율 54%···한국은 10%대 붕괴주행 거리 높이는 LFP···"NCM 장점 사라져"원료부터 원자재 수직계열화로 공급망 지배

미국의 견제에도 중국은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입지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전 세계 OEM들은 앞다퉈 LFP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어 우리 기업에 '차이나 리스크'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그래픽=이찬희 기자미국의 견제에도 중국은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입지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전 세계 OEM들은 앞다퉈 LFP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어 우리 기업에 '차이나 리스크'가 장기화되는 모습이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바이든 행정부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도입은 국내 배터리 제조사에 기회로 작용했다. IRA 규정상 FEOC(우려대상기업)에 포함된 중국에서 중요 광물 또는 배터리 구성 요소를 들여와 적용한 전기차에는 세액공제를 제공하지 않으면서다. 우리 기업으로선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만 낮춘다면 미국 시장을 전유물로 삼을 수 있었다.

하지만 오히려 중국 기업의 기세는 하늘을 찌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가 지난해 1~11월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총 사용량을 조사한 결과 CATL과 BYD 점유율은 각각 36.8%, 17.1%로 집계됐다. 합산 점유율이 53.9%에 달했는데 국내 3사 점유율은 19.8%에 그쳤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우리 기업 합산 점유율이 10%대를 기록한 건 처음 있는 일이다.

중국 내수 시장도 포함된 결과이지만 CATL과 BYD는 글로벌 경쟁력도 입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SNE리서치는 "중국뿐만 아니라, 테슬라, BMW, 벤츠, 폭스바겐 등 주요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또한 CATL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기차도 생산하는 BYD의 순수전기차(BEV) 판매량은 테슬라보다 많다"며 "중국 내수 시장을 넘어 아시아와 유럽 시장으로 진출하며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도 중국 배터리 제조사를 더 이상 내수 기업만으로는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국은 2010년대부터 전기차 배터리 '칼자루'를 쥐기 위해 원소재, 원자재 확보에 주력했다"며 "우리 기업은 이를 확보하지도 못했고 규모의 경제에서도 밀리고 있기에 중국의 가격 경쟁력을 따라갈 수 없는 처지"라고 말했다.

기술력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앞서 CATL은 작년 4월에 열린 베이징 오토쇼에서 1000km 주행 가능한 센싱 플러스(Shenxing Plus)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선보이며 단 10분 충전으로 60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이 교수는 "삼원계가 LFP보다 가벼워 주행거리에 장점이 있었으나 이제는 당연한 게 아니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LFP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저렴해 글로벌 OEM이 잇따라 주문을 쏟아내고 있다. 포드는 IRA가 중국을 배터리 시장에서 배제하겠다는 의도가 깔려있음에도 CATL과 '동맹'을 맺었다. CATL의 기술을 이용해 내년부터 현지에서 LFP 배터리를 양산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FEOC에 걸리지 않으려면 중국 기업 지분율이 25% 미만일 경우 가능한데 포드가 자본을 100% 지원하는 대신 CATL은 기술을 제공하는 '기술제휴' 방식을 택하면서 가능했다.

스텔란티스는 CATL과 스페인 북동부에 배터리 합작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최대 50GWh(기가와트시)의 생산 규모를 가진 이 공장은 2026년 말 완공될 예정이며 투자 금액은 약 41억유로(약 6조1700억원)에 달한다.

배터리 핵심 자원을 '무기화'하는 것도 중국의 또 다른 강점으로 꼽힌다. 이는 리튬, 니켈, 코발트, 흑연 등 핵심 원료를 비롯해 양극재, 전구체 등 원자재까지 배터리 공급망을 수직계열화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이기에 가능했다. 최근 중국은 미국의 수출 규제에 맞서 흑연을 미국에 수출할 때 심사기준을 강화하는 등 배터리 자원을 통제하고 있어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우리 기업이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에 사용하는 주요 핵심광물의 대(對)중국 수입의존도는 80~90%에 달한다. 수산화리튬의 경우 2023년 중국 수입 비중은 2022년 대비 감소하기는 했으나 80%에 육박했다.

배터리 3사는 IRA 도입으로 받는 AMPC(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 혜택에도 지난해 4분기 첫 동반 적자가 전망되고 있다. 전기차 캐즘(Chasm : 일시적 수요 둔화) 장기화로 벌어진 결과다. 3사 CEO(최고경영자)는 이구동성으로 올해 어려운 경영 환경을 예상했는데 중국의 배터리 패권에 우리 기업 위상이 크게 흔들리는 상황이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