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용산 정비창전면1구역 입찰 마감...6월 시공사 선정HDC현산, '파크하얏트' 유치·LERA 등 4개사 손잡아포스코이앤씨, 하이엔드 '오티에르'·유엔스튜디오 협업
1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재개발 사업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에 들어갔다. 입찰 마감일은 이날이며 6월 중 시공사 선정 총회를 개최한다. 현장설명회에 8개 건설사가 참여한 가운데 HDC현산과 포스코이앤씨는 입찰 참여계획을 공식화한 상태다.
이 사업은 총 9558억 원 규모로, 지하 6층에서 지상 38층까지의 초고층 빌딩 12개 동, 아파트 777가구, 오피스텔 894실, 판매·근린생활·업무시설 등을 포함하는 대형 복합개발 프로젝트다. 예상 공사비는 9558억원 규모로 알려졌다. 용산역과 도보 3분, 용산국제업무지구와 맞닿았다는 입지 특성상 건설사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고돼 있다.
HDC현산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용산을 '한국판 아자부다이 힐스'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계적인 설계·구조·컨설팅 기업들과 손을 잡았다
우선 조경 부문에서는 삼성물산 리조트부문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글로벌 랜드마크'를 조성하겠다고 밝힌 만큼 그에 걸맞은 조경 설계를 하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의 ▲계절 테마 정원 ▲오픈스페이스 ▲최첨단 조경 솔루션 ▲동선형 테마가든 등을 적용할 예정이다.
구조 설계는 미국의 LERA와 함께한다. LERA는 미국 뉴욕 세계무역센터, 중국 상하이 세계금융센터, 잠실 롯데월드타워 등의 구조 설계를 한 기업이다. 건축 설계는 서울포레스트, 나인원 한남,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등을 설계한 미국의 SMDP가 맡는다.
부동산 컨설팅 업체 CBRE코리아도 마스터플랜 수립부터 구성, 운영까지 종합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HDC현산의 자회사인 호텔HDC에서 위탁 운영하는 호텔 '파크하얏트'도 유치할 예정이다. 또, 수주를 위해 용산역 전면공원 지하공간 개발사업, 용산철도병원 부지 개발사업 등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HDC현산은 용산 지역에서의 풍부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용산역 전면공원 지하공간 개발사업, 용산철도병원부지 개발사업 등과 연계한 'HDC용산타운'을 조성하여 용산을 아시아·태평양권의 핵심 비즈니스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HDC현산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독 개발이 아닌 HDC산이 이미 설계부터 시공, 운영까지 맡고 있는 '용산역 전면공원 지하공간 개발사업'과 '용산철도병원 부지 개발사업' 등과 맞물려 용산 국제업무지구 전체의 입체적인 도시공간으로 연계되는 핵심 축"이라며, "일본 도쿄의 아자부다이 힐스나 롯본기힐스처럼 도시 전체의 기능과 미관을 통합하는 세계적인 명소로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이앤씨는 자사의 하이엔드 브랜드 '오티에르'를 적용하여 용산 정비창전면 제1구역을 미래형 복합도시로 개발하겠다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오티에르'는 이미 신반포, 방배, 노량진 등에서 고급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으며, 이번 용산 프로젝트에 처음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
포스코이앤씨는 해운대 엘시티, 여의도 파크원 등 대규모 복합개발 프로젝트의 경험을 바탕으로, 용산 정비창전면 제1구역을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포스코이앤씨는 프로젝트에 미래지향적 도시 경관을 조성하기 위해 세계적인 건축설계사 유엔스튜디오(UNStudio)와 협업해 '맞춤형 특화 디자인'을 선보일 예정이다.
용산 프로젝트에 기존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이 지역만을 위한 맞춤형 설계와 사람을 위한 공간 디자인을 적용할 계획이다. 단지 안의 길, 마당, 조망, 커뮤니티, 상업시설, 공공 동선까지 모든 요소를 '조합원과 미래 세대를 위한 삶의 무대'로 설계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오랜 기간 준비한 포스코이앤씨의 전략 사업으로, 여의도 파크원, 송도 국제업무지구 등 초대형 복합개발 경험을 토대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을 글로벌 랜드마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jhchul3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