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내 증권사 15곳의 80개 해외 점포의 당기순이익은 2억7200만달러(약 4002억원)로 지난해 1억650만달러(1566억원) 대비 155.5% 증가했다. 이는 국내 증권사 15개사 당기순이익의 7.3% 수준이다. 금감원은 "해외 현지법인의 당기순이익 증가는 미국 등 주요국 현지법인의 트레이딩 업무 이익 증가 등에 힘입어 크게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홍콩·베트남 등 10개국에서 2억9300만달러의 이익을 봤지만, 영국·태국 등 5개국에서는 2100만달러 손실이 나타났다. 70개 현지법인 중 38사가 이익을 거뒀고, 32사는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현재 증권사 해외점포는 15개국, 총 80개로 현지법인 70개, 사무소 10개로 구성됐다. 지난해에만 해외점포 10개가 신설되고, 3개가 폐쇄돼 총 7개 점포가 늘었다. 중국·싱가포르·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이 58개(72.5%)로 가장 많았고, 미국 14개(17.5%), 영국 6개, 그리스 1개, 브라질 1개 순이었다.
증권회사별 해외점포 현황을 보면 ▲미래에셋증권(19개) ▲한국투자증권(11개) ▲NH투자증권(8개) ▲KB증권(6개) ▲신한투자증권(5개) ▲삼성증권(5개) ▲다올투자증권(4개) ▲대신증권(3개) ▲리딩투자증권(3개) ▲한화투자증권(3개) ▲키움증권(3개) ▲하나증권(2개) ▲유안타증권(2개) ▲토스증권(2개) ▲SK증권(1개)으로 나타났다.
해외 현지법인 자산총계는 342억8000만달러(50조4000억원)로 전년 말 379억8000만달러(55조8000억원) 대비 9.7% 감소했다. 자기자본은 이익잉여금 증가 영향으로 81억4000만달러(12조원)를 기록해 2023년 77억달러(11조3000억원)와 비교해 5.6% 늘었다.
금감원은 "미국·홍콩·베트남 현지법인의 당기순이익이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 이익 실현이 일부 국가에 편중되어 있다"면서도 "최근 인도 등 신흥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유럽 등 선진국에도 점포를 신설하는 등 진출지역 다변화를 도모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감원은 "최근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 대외 변동성 확대로 영업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잠재리스크를 상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유선희 기자
poin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