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16일 목요일

  • 서울 -5℃

  • 인천 -5℃

  • 백령 2℃

  • 춘천 -10℃

  • 강릉 -4℃

  • 청주 -5℃

  • 수원 -7℃

  • 안동 -6℃

  • 울릉도 1℃

  • 독도 1℃

  • 대전 -5℃

  • 전주 -2℃

  • 광주 -1℃

  • 목포 1℃

  • 여수 -2℃

  • 대구 -3℃

  • 울산 -2℃

  • 창원 -2℃

  • 부산 -1℃

  • 제주 -1℃

美 양적완화 축소 파급력 분석 제각각

美 양적완화 축소 파급력 분석 제각각

등록 2013.09.02 11:16

최재영

  기자

공유

자금조달 악화·대출 기피
단기성 자금 이탈 불가피
금융권·기업들 이구동성
한국 금융시장은 안정적
일부 과민반응 경계론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조치가 한국 금융권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분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그동안 대다수 전문가들과 정부는 시장에 대해서는 안정적이라는 견해를 나타내면서 충격파가 적을 것이라고 예측해왔다.
반면 금융권에 대한 영향을 내놓은 분석은 많지 않아 향후 금융권 파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국은행 금융검사분석실 김용선 일반은행1팀장과 한경철, 이준범 과장은 최근 BOK 이슈노트 ‘QE Tapering(축소)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가 국내은행 경영안전성에 미치는 영향’보고서를 통해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관련해 은행의 자금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고 건전성 저하와 중소기업대출 기피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예금단기화 등으로 자금조달 구조에 변수가 발생하면서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 때문에 금융권이 대출과 관련해 보수적인 운용행태로 변할 것이라는 게 핵심이다.
국내경기가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양적완화 축소조치 진행되면 부실대출 증가로 은행들의 수익성 악화와 함께 기업까지 건전성이 나빠지는 ‘연쇄반응’을 보일 것으로 한은은 보고 있다.
현재 은행권 전체 기업대출(개인사업자 제외)의 12.8%에 달하는 현 상황을 볼 때 차입금의존도가 높은 기업은 건전성이 악화될 것으로 진단했다.
앞서 미국 뉴욕타임스도 저금리 달러로 투자해온 터키와 브라질, 인도 등이 양적완화 축소조치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고 한국도 대상이 포함될 것으로 예측했다.
기업들도 같은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에 따른 금융기관의 자본유출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견해는 한은과 시각이 비슷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회사채 시장 악화로 기업들이 직접금융 조달 여건 힘들어진 상황에서현재로서는 금융권 대출에 기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며 “지금처럼 금융권이 수익 악화가 지속된다면 은행들이 신용차별을 강화할 것은 뻔한 일이다. 한은의 분석이 전혀 틀린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기업의 자금조달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기업들의 타격은 매우 크다. 한은이 조사한 현재 기업 대출 비중은 12.8%로 양적완화 축소 조치 이후 15.6%까지 상승할 수 있다. 자금조달 금리가 상승하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0.3%포인트 수준만 되더라도 1조3000억원이 늘어나며 요주의여신비율 0.63%로 상승하면 2조8000억원이 상승한다.

이런 상황에 놓이면 시중은행들은 자연스럽게 대출비중을 줄이고 건전성 강화 조치에 들어간다는 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같은 의견을 두고 ‘과민반응’이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현재 터키, 인도 등이 버냉키 의장의 양적완화 축소 이후 금융권의 영향을 미친 반면 한국은 안정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의 의견들이 크게 갈리고는 있지만 단기성 자금 문제만큼은 공통된 의견을 보였다.
현재 정부는 환율과 증시쪽에는 ‘안정적’이라는 반응을 내놓고 있지만 단기성 자금이 빠져나가면 충격이 매우 클 것이라는 진단이다.
전문가들은 “양적완화 축소가 시작되면 미국 달러화 강세가 나타나고 신흥국 통화절화 압력이 어지는 만큼 신흥국은 경상수지에 따라 자본유출입 규모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