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플랫폼·클라우드 등 비통신 분야 집중곧 매출 비중 40%대로···KT는 2025년 50% 도전내수·정부 압박, 성장 한계 명확···비통신이 활로
통신 사업은 대표적인 내수산업으로 성장 한계가 명확한 데다, 막대한 투자를 해 수익이 날 만하면 정부가 제재하는 일이 반복되자 돌파구를 찾는 것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KT는 최근 애널리스트 대상 설명회에서 "2027년 국내 톱3 수준의 MSP(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제공사) 사업자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MSP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CSP) 서비스를 일반 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돕는 업체다. LG CNS, 삼성SDS, SK C&C, 메가존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등이 대표적이다.
SKT는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함에 따라 AI와 하이브리드 역량을 갖춘 MSP 분야에 새로운 성장 기회가 있을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퍼블릭 중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프라이빗 영역으로 확대하고, 인프라 제공을 넘어 AI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역량을 키운다는 방침이다. 특히 전국에 깔린 통신망을 활용해 고객 근처에 클라우드 서버를 두는 에지 클라우드로 서비스를 차별화할 계획이다.
SKT는 "지난해 기준 매출 1000억원을 기록한 클라우드 사업군은 올해 2000억 달성에 도전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고속 성장에 힘입어 2021년 2조9000억원 수준이던 '비통신' 매출 역시 2025년 8조1000억원까지 2.7배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계획대로라면, 매출 비중도 같은 기간 18%에서 36%로 2배 늘어난다.
KT는 이런 흐름에 더 적극적이다. 2020년부터 '디지코' 전환을 준비한 KT는 지난해 벌써 비통신 매출 비중이 41%까지 확대됐다. 클라우드·DX(디지털전환)를 비롯해 ▲AI·빅데이터 ▲로봇·모빌리티 ▲뉴미디어·콘텐츠 ▲헬스케어·바이오 ▲부동산·공간·IoT ▲금융·핀테크 ▲뉴커머스 등 8대 성장사업 조직을 강화해 온 결과다. KT는 이런 기조를 올해도 이어가는 한편, 다른 산업과의 연계와 글로벌 진출을 통해 3차원적인 성장을 만들어 2025년 비통신 매출을 5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LGU+는 플랫폼 퍼스트 전략(통신 기반 라이프스타일·놀이·성장 케어·Web3.0 플랫폼)을 올해도 지속 추진한다. 영유아 교육플랫폼 아이들 나라를 중심으로, 최근에는 ▲메타버스 ▲스포츠 ▲전기차 충전기까지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현재 비통신 매출 비중은 20%가량으로 추정된다. LGU+는 이 비중을 2025년 30%, 2027년 4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통신 3사가 '이동통신사' 프레임을 떼려는 배경은 내수시장에 국한된 사업구조에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무선 통신서비스(휴대폰) 가입자 수는 5597만여명이다. 이는 통계청이 추산한 대한민국 전체 인구(약 5155만명)를 웃돈다. 통신사업 만으론 성장에 한계가 명확하다는 얘기다.
때 되면 시작되는 정부의 각종 제재도 한몫했다는 평가다. 인프라 투자가 중요한 통신사업 특성상 5G와 같은 새 기술 방식 도입 초반엔 투자가 많다. 이를 상쇄하려면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높은 새 기술 방식 고객을 대거 확보, 수익성을 담보해야 한다. 그런데 수익이 날 만하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해 "통신비를 인하하라"고 압박한다. 최근 정부의 온갖 혜택에도 불구하고, 새 통신사업자(제4이통) 모집이 쉽지 않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내수 중심의 통신사업만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하기 어려운 구조"라면서 "통신을 기반으로 새로운 비즈니스에 뛰어드는 것은 전 세계적인 트렌드"라고 설명했다.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