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15일 수요일

  • 서울 -4℃

  • 인천 -2℃

  • 백령 -2℃

  • 춘천 -4℃

  • 강릉 -1℃

  • 청주 -1℃

  • 수원 -2℃

  • 안동 -1℃

  • 울릉도 4℃

  • 독도 4℃

  • 대전 1℃

  • 전주 1℃

  • 광주 2℃

  • 목포 2℃

  • 여수 3℃

  • 대구 2℃

  • 울산 3℃

  • 창원 3℃

  • 부산 4℃

  • 제주 7℃

금융 건설사 줄도산 우려에 PF 리스크↑···저축은행 NPL 투자사 '만지작'

금융 저축은행

건설사 줄도산 우려에 PF 리스크↑···저축은행 NPL 투자사 '만지작'

등록 2025.01.14 14:56

수정 2025.01.14 15:19

박경보

  기자

공유

태영건설 이어 신동아도 '휘청'···부동산PF 연착륙 적신호안 팔리는 저축은행 부실채권···2차 PF 파동 현실화 우려저축은행 NPL 투자사 설립 검토···자금공급 험로 예상

건설사 줄도산 우려에 PF 리스크↑···저축은행 NPL 투자사 '만지작' 기사의 사진

태영건설에 이어 신동아건설까지 휘청이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에 적신호가 켜졌다. 사실상 2차 PF 파동이 현실화되면서 부실채권(NPL)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의 리스크가 더욱 부각되는 모양새다. 저축은행업계는 NPL 투자사를 세워 부실채권을 정리한다는 복안이지만 자금조달 과정에서 험로가 예상된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에 따른 금융권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다. 건설사 시공능력 58위인 신동아건설은 2019년 워크아웃 졸업 이후에도 미분양적체 등 재무건전성이 악화되면서 최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지난해 말 기준 신동아건설의 총 PF 채무보증 규모는 약 4000억원으로, 본 PF 2550억원과 브릿지론 1450억원 내외로 구성된다.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가 전체 금융시장과 금융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크지 않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저축은행의 사정은 다르다.

저축은행의 절대적인 부동산PF 규모는 크지 않지만 브릿지론과 토지담보대출 비중이 높고 자금사정이 열악한 지방 중소건설사들이 참여한 사업장이 많다. 실제로 지난해 부도를 낸 국내 건설업체 29곳 가운데 25곳이 지방 중소건설사다.

사업장별 평균 PF 취급 규모를 살펴보면 보험이 32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270억원), 여전(110억원), 증권(61억원), 저축은행(25억원)이 뒤를 이었다. 반면 부실위험이 높은 유의·부실우려 사업장 비중은 저축은행(27%)이 가장 높았다. 증권과 은행의 부실사업장 비중은 각각 12%, 1%에 불과하다.

저축은행의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9월말 기준 29.2%로, 금융업권 내 최고 수준이다. 지난 2023년 말 10.7%에 그쳤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6월 28.9%로 뛰는 등 최근 2년 사이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렸다.

최근엔 부실사업장 매각률 하락과 우량 사업장의 만기연장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 본 PF 전환 지연 등으로 저축은행의 PF 리스크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저축은행의 PF 대출은 비아파트 대출과 투기·무등급 시공사 비중이 높아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더라도 정상화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방 중소건설사들의 연쇄 도산이 계속 이어질 경우 2차 PF 부실 파동과 저축은행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지난 2021년 2.5%였던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2022년 3.4%, 2023년 6.6%, 지난해 6월엔 8.4%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PF 연체율이 1.2%에서 12.5%로 급등한 결과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부실 저축은행 대상 경영실태평가를 통해 저축은행 3개사의 경영평가 4등급이 확정됐다. 특히 지난달 24일 금융위원회는 안국·라온저축은행 2곳에 대해 경영개선권고(적기시정조치)를 부과했다.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적기시정조치는 지난 2012년 저축은행 사태 때도 내려졌고, 이번 조치는 2018년 1월 이후 6년 만이다.

안국저축은행과 라온저축은행의 연체율(지난해 9월 말 기준)은 각각 19.4%와 15.8%에 달한다. 부실 PF 정리가 앞으로 더 지연될 경우 적기시정조치를 받는 저축은행은 올해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금융당국의 PF 정리·재구조화 방안에 따라 저축은행의 PF 부실 정리는 올해 상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PF사업장 재평가에 따른 부실여신 증가 등 PF 여파가 지속되고 되고 있지만, 문제는 중소건설사의 지방 PF 사업장 정리가 어렵다는 점이다. 정부는 지난해 10월까지 부실 우려 사업장의 21.4%를 정리했으나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상황이다.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은 지난달 17일 열린 부동산PF 정리·재구조화 현황 브리핑에서 "부실 PF 정리는 신디케이트론, 업권 펀드 등 다양한 수요를 계속해서 확장해나가고 있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무리하게 지방 부동산에 대한 대책을 내놓기보다는 경제적 논리에 따라서 가는 것이 맞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지방의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대한 해법을 금융당국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 저축은행중앙회는 신속한 PF 부실채권 정리를 위해 NPL 투자사 설립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체적인 채널을 확보하면 채권 판매 가격을 더 높일 수 있고, 매각 속도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어서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낮은 자금력을 고려할 때 NPL 설립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업계 안팎에선 각 저축은행들이 십시일반 자금을 공급해 채권 매입비용을 확보하지 않겠냐는 전망이 나온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NPL 투자사 설립과 관련해 저축은행 몇곳과 의견을 교환하긴 했지만 확정된 내용은 아무 것도 없다"면서도 "초기 출자금은 크지 않겠지만 NPL 매입을 위한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투자사 설립까지는 시일이 꽤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희재 하나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저축은행은 PF 기초자산이 타업권 대비 열악해 부동산 경기 위축 시 선제적인 타격을 받고 회복도 상대적으로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며 "PF 부실 여파로 저축은행업은 당분간 수익성 부진 및 건전성 부담이 불가피한 만큼 성장성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경영혁신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