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19일 수요일

  • 서울 -2℃

  • 인천 -3℃

  • 백령 -1℃

  • 춘천 -2℃

  • 강릉 -2℃

  • 청주 -2℃

  • 수원 -2℃

  • 안동 -1℃

  • 울릉도 1℃

  • 독도 1℃

  • 대전 -1℃

  • 전주 -1℃

  • 광주 -1℃

  • 목포 -1℃

  • 여수 1℃

  • 대구 1℃

  • 울산 2℃

  • 창원 3℃

  • 부산 3℃

  • 제주 3℃

IT '비용 리스크' 덜어낸 게임업계, 올해는 볕들까

IT 게임

'비용 리스크' 덜어낸 게임업계, 올해는 볕들까

등록 2025.02.16 08:00

강준혁

  기자

공유

지갑 닫은 넷마블, 비용 급감···"올해도 기조 유지"엔씨·카겜 등도 인력·사업 효율화 작업 마무리"일회성 비용 선반영, 올해부터 정상화 가능"

게임업계가 지난해 체질 개선을 어느 정도 끝마친 가운데, 올해는 반등을 이루겠다는 목표다. 그래픽=이찬희 기자게임업계가 지난해 체질 개선을 어느 정도 끝마친 가운데, 올해는 반등을 이루겠다는 목표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국내 게임 업계가 올해 실적 반등을 예고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펜데믹이 야기한 게임 호황 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비용의 효율화 작업을 마친 만큼, 올해는 기대 신작 라인업 론칭을 바탕으로 다시 날아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가득하다.

1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국내 많은 게임사가 지난해 비용효율화 작업을 통해 재무 상태를 개선했다. 대표적인 기업은 넷마블이다. 이 기간 영업비용은 전년도 대비 5.1% 감소한 6138억원에 그쳤다. 세부적으로 ▲지급수수료는 8.6% 감소한 2316억원 ▲인건비는 2.2% 줄어든 1787억원 ▲마케팅비는 5.6% 감소한 1205억원으로 구성됐다.

매출 대비 비중만 놓고 봐도 눈에 띄게 줄었다. 넷마블의 지난해 비용 비중은 전체 매출의 86.1%로 전년도(95.3%)에 비해 큰 폭 감소했다. 회사는 올해도 비용 정책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외형 성장에도 성공했다. 넷마블의 지난해 매출은 2조6638억원으로 2023년(2조5021억원) 대비 6.5% 증가했다.

올해 9종 신작으로 본격적으로 반등에 나선다. 넷마블은 상반기 ▲RF온라인 넥스트 ▲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세븐나이츠 리버스 ▲킹 오브 파이터 AFK를 시작으로 ▲더 레드: 피의 계승자 ▲일곱개의 대죄: 오리진 ▲몬길: 스타다이브 ▲프로젝트 SOL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PC·스팀)을 선보일 예정이다.

체질 개선을 위해 '분골쇄신(粉骨碎身)'의 한 해를 보낸 곳도 있다. 엔씨소프트(이하 엔씨)는 지난해 두 번의 구조조정으로 퇴직금 등 고정비용을 크게 지출했다. 엔씨는 지난해 4분기에만 총 5389억원의 비용을 지출했다. 전년 동기 대비 24.2% 늘어난 수준이다. 이 중 인건비는 같은 기간 56.3% 늘어난 3145억원이다. 지난해 연간 영업비용은 1조6873억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2.7% 늘었다.

지난해 엔씨는 두 차례 구조조정을 통해 조직 효율화 작업을 진행했다. 회사는 신작 개발 조직(퍼스트스파크 게임즈, 빅파이어 게임즈, 루디우스 게임즈)과 AI(엔씨 에이아이), QA(앤씨큐에이), SI(엔씨아이디에스) 부문을 분할하고 희망퇴직도 단행했다. 체질개선을 마친 만큼 올해는 'LLL' '아이온2' 등 신작과 신규 지식재산권(IP) 확보를 통해 반등한다는 목표다.

카카오게임즈도 지난해 다수 비핵심 사업을 쳐내는 등 과감한 체질 개선에 나섰다. 대표적인 사례는 자회사 세나테크놀로지 보통주 187만6750주(37.5%·784억원)를 케이오일호 유한회사에 매각한 것이다. 세나테크놀로지는 카카오게임즈가 2021년 인수한 글로벌 이륜차용 통신기기 회사다. 골프 플랫폼 운영 자회사 카카오VX의 일부 사업에서도 철수했다.

지출도 줄였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해 영업비용으로 8213억원을 썼다. 전년도(9506억원) 대비 13.6% 줄었다. 구체적으로 ▲인건비는 5.1% 줄어든 1960억원 ▲지급수수료 6% 줄어든 3578억원 ▲마케팅비는 22.9% 줄어든 496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올해 자체 개발 타이틀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가제) ▲섹션13을 시작으로 ▲가디스오더 ▲프로젝트C(가제) ▲SM 게임 스테이션(가제) ▲갓 세이브 버밍엄 ▲프로젝트Q(가제) ▲크로노 오디스세이 등 신작으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엔씨소프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등 전통적인 강자들이 예년 만큼 힘을 쓰지 못하는 건 사실"이라면서도 "지난해 체질개선을 통해 비용 부담을 크게 덜어낸 만큼, 올해 준비된 게임 성과만 따라준다면 빠른 시일 내 호실적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