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24일 월요일

  • 서울 -3℃

  • 인천 -1℃

  • 백령 1℃

  • 춘천 -4℃

  • 강릉 -1℃

  • 청주 -2℃

  • 수원 -2℃

  • 안동 -3℃

  • 울릉도 1℃

  • 독도 1℃

  • 대전 -1℃

  • 전주 -1℃

  • 광주 2℃

  • 목포 2℃

  • 여수 2℃

  • 대구 1℃

  • 울산 1℃

  • 창원 2℃

  • 부산 1℃

  • 제주 2℃

산업 포스코 회장 연임 공식 또 바뀐다...'짠한 눈치보기'의 역사

산업 중공업·방산 NW리포트

포스코 회장 연임 공식 또 바뀐다...'짠한 눈치보기'의 역사

등록 2025.02.24 06:21

황예인

  기자

공유

포스코홀딩스, '3연임' 정족수 '1/2→2/3'끊임없는 정치 외압설, 포스코 '골머리'연임 기준 강화로 '외풍' 차단 의지 보여

사진=포스코 제공사진=포스코 제공

포스코홀딩스의 회장 연임 공식이 새롭게 바뀔 예정이다. 3연임에 필요한 기존 주주총회 가결 정족수를 절반 이상에서 3분의 2 이상으로 늘리기로 결정하면서다. 그간 포스코 역대 회장 가운데 3연임에 성공한 인물은 한 명도 없었으나, 3연임 도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미연에 방지하고 지배구조를 안정화하기 위해 결정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회사의 '3연임' 조건 강화 움직임에 또 다른 속내가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포스코가 오랜 기간 동안 정부 간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이번 연임 기준 강화를 통해 주주 행사 입지를 높여 정치권 개입을 사전에 방지하려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다.

'정권교체=회장교체' 공식···언제까지


그래픽=이찬희 기자그래픽=이찬희 기자

1968년 공기업으로 출발한 포스코는 2000년 10월 정부 지분을 자사주로 매입하면서 민영화 기업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지만 민영화된 공기업 특성상 '주인없는 기업'으로 오너(지배주주)가 부재하다. 그렇다 보니 외풍(外風)에 취약한 구조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인지 포스코는 민영화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외압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거부터 포스코의 회장 선거 과정에서는 매번 정치권 개입 의혹이 따라왔다. 가장 두드러지는 건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역대 회장들이 줄줄이 사임했던 사례들이다.

창립 이후 포스코그룹을 이끌었던 박태준 명예회장은 김영삼 정부 출범 직전 회장직을 내려놓았다. 당시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를 지원하지 않았다는 것이 불화의 시작으로 알려진다. 이후 2대 회장에 오른 황경로 회장도 6개월을 넘기지 못하고 사임했다. 그 역시 '박태준 사단'으로 분류된 인물이었다. 황 회장에 이어 3대 회장으로 정명식 회장이 올랐으나 그 역시 1년 만에 물러나게 됐다.

김영삼 정부는 1994년 포스코 역사상 유일한 외부 인사 출신인 김만제 전 경제부총리를 회장으로 취임시켰다. 하지만 김 회장도 김대중 정부로 정권이 바뀌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났으며, 당시 정부는 유상부 회장으로 수장을 다시 교체했다. 유 회장도 '박태준 사단'으로 분류된 인물로서, 1998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5년간 회장직을 지내며 회사를 이끌었다.

이 시기에 포스코그룹은 국내 대기업 최초로 사외이사제를 도입하며 변화를 시도했다. 투명한 전문 경영체제를 확립하고 이사회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이를 통해 기업 지배구조를 한층 강화했다. 또, 정부의 압박에서 벗어나고 글로벌 철강업계 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민영화를 빠르게 추진해 나갔다.

다만 포스코가 민영화에 성공한 이후에도 정부의 입김은 계속됐다. 민영화 이후 최정우 회장을 제외한 4명 회장 모두 임기를 채우지 못했다. 유상부 회장은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사임했고 이구택 회장이 다시 회장직에 올랐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지 1년 만에 정치권 외압 논란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정준양 회장이 포스코 7대 회장으로 선임됐고, 2012년에는 연임에도 성공했다. 다만 박근혜 정부 들어서 정 회장은 대통령 국빈 만찬, 10대 그룹오너 초청 청와대 오찬 명단 등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고 정부와 어색한 사이를 이어갔다. 결국 그는 연임 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사퇴했으며 권오준 회장이 새로운 수장이 됐다. 권 회장 역시 연임에는 성공했지만 2020년 임기를 마치지 못했다.

계속되는 '정부 개입' 속 연임 기준 강화...속내는?



역대 포스코 회장들의 사임 이유는 다르지만 대부분이 정권이 바뀌기 직전 혹은 이후에 교체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포스코가 정부 사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는 이유다.

계속되는 딜레마 속 포스코그룹은 회장의 3연임 제도를 더욱 깐깐하게 개편했다. 원래대로라면 주주총회에서 참석자의 과반수가 찬성하면 회장으로 선임됐지만, 이제는 참석자의 3분의 2 이상의 표를 받아야 한다. 특히 회장은 3연임을 하기 위해서는 주주들이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낸 점에 대해서도 검증받아야 한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기존에는 회장을 연임하려면 과반 이상의 주주 찬성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제는 주주 3분의 2(66.7%)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연임을 할 수 있게 바뀌었다. 즉 과반(50%)에서 3분의 2(66.7%) 이상으로 연임 기준이 한층 높아진 셈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연임 기준 강화 목적을 지배구조 고도화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사측은 "지배구조 고도화 개선의 일환으로 연임 후 재선임 시 요건에 대해 주주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사측의 연임 기준 강화 작업을 두고 엇갈린 시선을 보내고 있다. 먼저 시장 일각에서는 포스코홀딩스가 국영기업이 아닌 민간기업인 만큼, 주주들의 행사 입지를 높여 정치권이나 외부투자자들의 개입을 사전에 막겠다는 전략으로 풀이하는 분위기다. 포스코홀딩스는 과거에도 회장이 교체될 때마다 정권의 영향을 벗어나기 어려웠는데, 이번 연임 기준을 강화하면서 주주들의 입지를 넓혀 사실상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겠다는 해석이다.

현재 포스코홀딩스의 최대주주는 지분 약 6.71%를 보유한 국민연금이다. 즉, 정부는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사측이 미리 연임 기준을 높여 회장 연임에 개입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만일 사측의 안건대로 연임 기준이 강화된다면 국민연금이 새로운 회장 선출에 반대표를 던져도 나머지 주주들이 찬성표를 던지면 회장은 연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또 다른 시각도 있다. 연임 기준을 높이면 최고경영자(CEO)의 장기집권을 방지하고 투명경영을 강화할 수 있어서다. 즉, 경영 성과가 좋지 않은 수장은 자연스럽게 교체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나아가 현재 포스코그룹 회장직을 지내고 있는 장인화 회장이 향후 연임에 대한 의지가 있다면, 재임 기간 동안 눈에 띄는 경영 성과를 내야 한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장 회장이 회장직에 오른지 아직 1년 채 안 됐지만 연임 기준이 보다 더 깐깐해진 만큼 향후 주주들의 찬성표를 위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일지 관심이 모인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