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3일 토요일

  • 서울 8℃

  • 인천 10℃

  • 백령 10℃

  • 춘천 9℃

  • 강릉 9℃

  • 청주 9℃

  • 수원 9℃

  • 안동 10℃

  • 울릉도 11℃

  • 독도 11℃

  • 대전 9℃

  • 전주 9℃

  • 광주 10℃

  • 목포 10℃

  • 여수 12℃

  • 대구 10℃

  • 울산 12℃

  • 창원 12℃

  • 부산 11℃

  • 제주 11℃

부동산 대선 앞둔 분양시장 '멈칫'···서울 대단지, 줄줄이 내년으로

부동산 건설사

대선 앞둔 분양시장 '멈칫'···서울 대단지, 줄줄이 내년으로

등록 2025.05.03 09:00

권한일

  기자

공유

강남권 등 서울 주요 단지 분양 연기 속출건설·분양업계, 대선·정책 이슈에 '촉각'

서울 시내 아파트 견본주택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무관함. 사진=권한일 기자서울 시내 아파트 견본주택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무관함. 사진=권한일 기자

대통령 선거를 한 달여 앞두고 아파트 분양시장이 정치적 불확실성과 정책 변화에 대한 관망세로 크게 위축되고 있다. 주요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대거 조정하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방 모두 공급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3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올해 청약 대기자들의 관심을 모았던 서울 강남권 대단지 분양이 줄줄이 내년으로 미뤄졌다. 삼성물산의 '래미안 트리니원'(반포주공1단지 3주구, 2091가구)과 GS건설의 '방배포레스트자이'(방배13구역, 2217가구)는 각각 기존 분양 일정을 미뤄 내년으로 재조정하거나, 내년 분양을 확정했다.

두 단지 모두 올해 분양을 목표로 했으나 조기 대선 등 정치적 변수와 부동산 정책 변화 가능성, 분양가 조율 난항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분양 시기를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외에도 당초 상반기 분양 예정이던 단지들 상당수도 일단 대선 이후 하반기로 분양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 DL이앤씨가 시공하는 '아크로 리버스카이(노량진8구역, 987가구)'의 분양 시기는 당초 4월에서 내년으로 미뤄질 가능성이 남아 있다.

이처럼 서울 시내 대단지들이 분양 일정을 일단 올해 하반기로 잠정적으로 잡거나, 아예 내년으로 미뤄두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올해 서울 분양 물량은 2만 가구를 밑돌 가능성이 커졌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예정 분양은 총 2만5228가구(청년안심주택 포함)로 집계됐으나, 이 중 절반이 넘는 1만3769가구가 아직 분양 일정이 확정되지 않았다.

서울 이외 수도권과 지방에서도 비슷한 양상이다. KB부동산은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분양 물량은 4만5121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12만3622가구) 대비 63.5%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 역시 지난해 상반기 6만9059가구에서 올해 2만7292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지방 5대 광역시도 1만106가구로 전년 대비 71.9%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5월 예정된 분양 물량도 일정이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 실제 분양 실적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건설업계는 대선 이후 하반기에 분양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며, 추이를 봐가면서 아예 내년으로 일정을 미루겠다는 분위기도 이어지고 있다.

5월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1만717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할 전망이다. 전체 물량의 3분의 2가 수도권(1만1697가구)에 집중될 예정이며, 서울은 4333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에선 구로구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고척4구역 재개발, 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 은평구 '힐스테이트 메디알레'(대조1구역, 현대건설) 등 메이저 브랜드 단지 분양이 대기 중이다.

주목할 점은 지난 4월 분양 실적률이 89%로 반등했다는 점이다. 이는 조기 대선 정국 속에서도 일부 사업장이 분양 일정을 미루지 않고 대선 전에 분양을 강행한 결과로 분석된다. 공급자 입장에선 본격적인 대선 국면 전에 분양을 진행하려는 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분양시장 분위기는 대선 결과와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크게 달라질 전망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서울 도심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와 5년간 250만호 공급을 공약했고,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용적률 상향, 신도시 재건축 공공기여 조정 등을 약속했다. 향후 대통령 당선인과 정책 방향이 결정되는 대로 분양시장에는 또 다시 큰 변화가 예상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분양 계약률은 회사 실적과 직결되는 부분이라 신중을 기해야 한다"면서 "1분기보다 정국 불안감은 해소 됐지만 대선과 정부 정책 방향에 따라 큰 변화가 있을 수 있어 시행 측과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