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HBM 검색결과

[총 220건 검색]

상세검색

엔비디아 문턱 넘은 삼성전자 HBM, 반도체 실적 회복 신호탄

전기·전자

엔비디아 문턱 넘은 삼성전자 HBM, 반도체 실적 회복 신호탄

올해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기를 펴지 못했던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이 기지개를 펴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불러온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메모리 부문은 물론 적자를 지속해왔던 비메모리 부문까지 경쟁력을 회복하는 모양새다. 특히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자리를 통해 엔비디아에 HBM3E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는 점도 사실상 공식화했다. 삼성전자는 30일 올해 3분기 기준 매출액 86조1000억원, 영업이익 12조2000억원을 기록했다는 실

SK하이닉스, 영업익 또 갈아 치웠다···11.3조 사상 최대(종합)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영업익 또 갈아 치웠다···11.3조 사상 최대(종합)

SK하이닉스가 분기 영업이익 11조원을 넘어서며 '11조 클럽'에 입성했다. 이번에 거둔 영업이익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다.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어선 것도 이번이 최초다. 이는 SK하이닉스가 리더십 지위를 보이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D램은 물론 낸드까지 인공지능(AI)발 수요 덕이 컸다. SK하이닉스는 특히 이번 슈퍼사이클이 과거와 달리 장기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SK하이닉스가 29일 실적발표회를 열고 올해

SK하이닉스, 영업이익 사상 최대···분기 '11조 클럽' 입성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영업이익 사상 최대···분기 '11조 클럽' 입성

SK하이닉스가 분기 영업이익 11조원을 넘어서며 '11조 클럽'에 입성했다. 이번에 거둔 영업이익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다. SK하이닉스가 리더십 지위를 보이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D램은 물론 낸드까지 인공지능(AI) 발 수요 덕이 컸다. SK하이닉스가 29일 실적발표회를 열고 올해 3분기 매출액 24조 4489억원, 영업이익 11조 3834억원(영업이익률 47%), 순이익 12조 5975억원(순이익률 52%)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KB증권 "삼성전자, D램 가격 상승 장기화 최대 수혜"

종목

KB증권 "삼성전자, D램 가격 상승 장기화 최대 수혜"

KB증권이 삼성전자에 대해 "D램 가격 상승 장기화의 최대 수혜주"라며 목표주가 13만원과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24일 보고서를 통해 "컨벤셔널 D램 수요 급증으로 2026년 DDR5 마진이 HBM3E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수익성 역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전자를 반도체 부문 탑픽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4분기 D램 평균판매단가(ASP)가 기존 전망치 대비 10~15% 이상 상승해 시장 컨센서스

최태원의 신의 한 수 SK하이닉스, 40조-400조 신화로 거듭났다

재계

최태원의 신의 한 수 SK하이닉스, 40조-400조 신화로 거듭났다

'채권단 손에 넘어갔던 회사. 인수 직전 시가총액 13조에서 2025년 400조원 육박. 인수 당시 연간 영업손실 -2273억원에서 2025년 연간 영업이익 40조원 추정' SK그룹이 2012년 품에 안은 SK하이닉스의 이야기다. SK하이닉스는 SK그룹 품 안에서 비상하고 있다. 과거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국내는 물론 글로벌 굴지의 명실상부한 반도체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데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남다른 혜안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SK하이닉스의 날개를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