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 설명회 진행사업규모 2.5조원···SPC 지분 공공 51%, 민간 49%센터는 비수도권 구축, 사업은 올해 조기 개시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사업설명회 도중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필요성을 이렇게 설명했다.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정부의 인공지능 3대 강국(AI G3) 도약 목표 하에 기획됐다. 정부는 센터를 통해 AI 연구·개발 환경을 조성하고 국내 AI컴퓨팅 생태계를 육성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9월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에서 AI컴퓨팅 센터 구축 계획을 처음 밝혔다. 지난달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한 뒤 민간사업자 공모를 진행 중이다. 최종 선정 대상 민간 참여자 수는 1개 기업 또는 1개 컨소시엄이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공공과 민간이 각각 51%, 49% 비율로 총 4000억원을 출자한 민관합동 특수목적법인(SPC)이 구축한다. 센터는 비수도권에 건설되며, 2027년 개소가 목표다. 단 사업(서비스)은 올해부터 미리 시작한다. 사업 규모는 최대 2조5000억원으로, 산업은행·기업은행이 SPC 지분의 최대 30%(각 15% 이내)를 출자하고, 2027년까지 투자금 2조∼2조5000억원을 정책 금융을 통한 저리로 빌려준다.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에 선정된 민간 참여자는 제품 출시·수급 동향 등을 고려해 초기에는 첨단 GPU를 우선 구축한다. 다만 점진적으로 국산 AI반도체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AI컴퓨팅을 통한 수익성 고려 후 상세 계획과 대학·연구소 및 중소·스타트업 등의 AI서비스 지원을 위해 저렴한 수준으로 운영해야 한다.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의무도 있다. 민간 참여자는 글로벌 기업들과 구체적 협력 방안을 마련해 국내 AI컴퓨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추진해 나가야 한다. 정부와의 R&D 협업도 진행 예정이다. 송 실장은 "국가는 정부 차원의 국가적, 행정적 지원을 다하고, 대규모 수요 창출 등 국가 대규모 AI 지원책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국가 AI 인프라, 연구개발(R&D) 등 다방면의 지원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설명회는 과기정통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기업은행 ▲한국전력공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이 함께 개최했다. 특히 국내외 빅테크 및 투자사, 플랫폼 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등 관계자가 몰려 당초 계획한 300석 규모 좌석을 늘리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민간참여자는 오는 28일 오후 5시까지 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해야 한다. 사업참여계획서 작성 지침 등이 담긴 '공모지침서'는 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하는 기업에 한해 제공된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