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국가 AI 산업 경쟁력 진단 간담회 국내 IT·AI 대표 기업 참석···AGI 국가 전략 요구"차별성 있어야···추격조 구성해 얽매이지 말아야"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국가AI위원회, 초거대AI추진협의회가 서울 중구 국가AI위원회 회의실에서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을 진단 및 점검하는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는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 주재로 열렸으며, 배경훈 LG AI연구원장, 신용식 SK텔레콤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오승필 KT 최고기술책임자(CTO), 김병학 카카오 부사장(카나나알파 성과리더),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중국의 딥시크의 등장은 위기이자 국내에서도 AI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정혜동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인공지능 PM은 "각국의 AI 모델은 자국의 이익, 언어, 문화에 특화해 발전하는 상황으로 우리의 독자적인 AI 모델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소버린 AI 개발을 위해 컴퓨팅 파워, 연구개발뿐 아니라 AI 생태계를 구성하는 인재 양성, 데이터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형 AI 모델의 기준과 정의를 바로 짚어야 한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오승필 KT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알고리즘을 한국에서 만들어야 한국적 AI인지, 데이터가 국내 데이터여야 하는지 등 한국적 AI가 명확히 무엇인지 KT는 진지하게 고민 중"이라며 "어떻게 AI 모델들을 평가할 것인지 생각하고 나아가야 향후에 향상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거대언어모델(LLM) 아키텍처는 사실 크게 다르지 않다"며 "기술 장벽도 높지만 관건은 누가 더 강력한 인프라로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해 AI 모델을 만드냐고, 한국 기업들도 여전히 도전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또, 이날 배 원장은 처음으로 딥시크와 유사하고 저렴한 AI 모델을 이미 만들어 그룹사에 공유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자사 AI 모델 엑사원(EXAONE) 3.5 기반 32B 모델을 만들 때 70억원이 들었다"며 "글로벌 수준의 모델을 만들고 사업 가치를 창출하고 있지만 잘 알리는 활동이 부족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어 그는 "조만간 딥시크 R1 수준의 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다른 국가와의 차별성과 소버린 AI의 중요성도 언급됐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전에는 AI를 만들어서 인류의 삶을 어떻게 개선할 것이냐에 대한 시각이었다면 이번 일로 시장을 더 바라보게 됐다"며 "한국 시장만 아니라 글로벌에서 우리가 어떻게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 대표는 "네이버의 경우 원천 기술을 많이 확보하고 소버린AI를 강조하고 있다"며 "다른 기업들의 다양성이 한국 AI 산업이 글로벌로 갈 수 있는 밑바탕이라고 본다"고 부연했다.
AI 생태계 발전과 모델 개발을 위해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딥시크가 던진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인공일반지능(AGI)과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길어도 5년 안에 가능할 것이며 정부는 AGI를 국가 전략으로 삼을지에 분명한 입장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추격조'를 만들어 제도 등에 얽매이지 않고 정부가 파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국가AI위원회 분과위원인 김두현 건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오픈AI나 딥시크급으로 AI 기술을 끌어 올릴 수 있는 추격조를 구성해야 한다"며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산하에 특수 임무 조직을 둬서 제도에 묶이지 않고 파격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도 "올해 연말까지 국내에서 10개 이상의 딥시크 같은 회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말씀드리겠다"며 "추격조로 선정된 회사에 '한 3년 정도 국내 데이터를 모두 갖다 쓰라, 저작권은 나중에 계산하라'는 아주 파격적인 제안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오픈AI, 엔트로픽 등 해외 빅테크를 이끄는 한국 출신 리더들을 파격적인 대우를 통해 초빙해 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태그
![](https://nimage.newsway.co.kr/assets/image/photo/opinion/xxian212.png)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