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점유율 36%로 1위···삼성전자는 34%'핵심 기술' HBM 분야서 시장 점유율 70% 달성올해 HBM4 12단 이어 HBM4E 적기 공급 전망
9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D램 시장에서 점유율 36%로 1위에 등극했다. 삼성전자는 34%, 마이크론은 25%를 기록하며 뒤를 쫓았다. 특히 핵심 기술인 HBM 분야에서는 70%의 시장 점유율로 압도적 우위를 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D램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시장에서는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라 HBM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SK하이닉스가 HBM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수요에 발빠르게 대응한 전략이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 4분기부터 양사 간 점유율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며 1·2위 순위가 바뀔 가능성도 제기됐다. 당시 D램 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39.3%로 여전히 1위를 유지했지만, SK하이닉스가 36.6%를 기록하며 바짝 추격했다.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전 분기 대비 1.8%포인트(p) 하락한 반면, SK하이닉스는 2.2%p 성장하며 점유율 격차를 크게 좁혔다.
최정구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수석 연구원은 "이번 성과는 SK하이닉스가 D램 분야, 특히 HBM 메모리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결과"라며 "회사에 큰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라고 풀이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주력인 HBM3E(5세대) 12단 제품을 글로벌 최대 고객사인 엔비디아를 비롯해 주요 고객사에 공급 중이다. 또 후속 제품인 HBM4(6세대) 12단 제품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샘플을 공급했다. 이 외에도 SK하이닉스는 2022년 HBM3(HBM 4세대)를 시작으로 2024년 HBM3E 8단, 12단도 업계 최초 양산에 연이어 성공한 바 있다.
올해는 HBM4 12단 양산과 함께 HBM4E 적기 공급에도 나선다. 최준용 SK하이닉스 HBM 사업기획 부사장은 7일 SK하이닉스 뉴스룸 인터뷰에서 "올해 HBM4 12단 양산 진행은 물론 HBM4E도 적기 공급해 HBM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규 HBM 개발과 병행하여 고객의 특화된 요구에 맞춘 커스텀 HBM을 통해 다양한 고객 요구를 최적의 솔루션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전소연 기자
soye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