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이복현, 김병주 회장 향해 날선 비판 MBK, 김병주 사재출연 규모 비공개 홈플러스에 묶인 자금에 부동산펀드도 긴장
지난 28일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MBK와 홈플러스의 행태에 대해 날선 발언을 하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냈다.
이날 김 위원장은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의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이 입점업체들의 미회수채권 피해보전을 위해 각별한 관심을 갖고 지원해달라"는 요청에 "MBK나 홈플러스 경영진이 채권자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을 정도의 액션을 보이지 않는다면 정상화 자체가 안되는 상황까지도 갈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사재출연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저희가 할 수 있는 부분들을 하겠다"며 "조사에 속도를 내 검찰에 넘긴 것도 그런 취지의 하나로 봐달라"고 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김병주 회장의 해외 도피 가능성에 대해 "수사 전문기관에서 판단할 사안이지만 우려를 인식하고 있다"며 "이슈가 꺼지면 그들(MBK·홈플러스)이 가장 좋다는 강한 인식을 가지고 있고 이 때문에 신속하게 조사 처리를 하고 있고 금감원 직원 다수를 중앙지검에 파견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MBK에 위탁운용사(GP)로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절차가 남아 있다고도 강조했다. 이 감독원장은 "검사를 통해서 잘못한 것들이 있으면 책임을 물을 것이고 이 경우 GP로 활동하는데 지장이 있을 것"이라며 "전체적으로 기관전용 사모펀드들의 문제점을 검사로 점검하고 해결책을 찾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의 수위 높은 압박에도 MBK와 홈플러스는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오는 6월 12일이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지만 MBK 측은 1000억원 수준의 자금만 지원한 상태다.
앞서 김 회장은 사모펀드 운용사인 큐리어스파트너스를 통해 600억원 규모의 DIP(Debtor in Possession Financing) 대출을 실행하고 이에 대해 연대보증을 제공하는 구조로 자금을 조달하기로 했다. DIP 대출의 경우 회생절차 중 신규로 자금이 투입되는 구조로 기존 채권자보다 우선 변제권이 보장된다. 게다가 부도가 나야 김 회장이 책임지는 구조다. 홈플러스가 변제를 하지 못하면 김 회장이 대신 갚게 되는 구조이게 사재 출연이라고 보기 어렵다. 게다가 해당 대출은 연 10%이다. 홈플러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된 상황이다.
김 회장의 일부 사재는 결제대금 해소에 사용된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시장에선 김 회장이 책임지고 사재를 출연했기보단 상황을 면피하기 위해 구색만 맞췄다는 지적이다.
앞서 이복현 감독원장은 김 회장에 대해 "MBK파트너스는 자기 뼈가 아닌 남의 뼈를 깎고 있다"며 "손실은 사회하시키고 이익은 사유화시키는 방식들에 대해 국민 불신이 있고 감독당국도 똑같이 불신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선 MBK가 손실을 사회에 떠넘기면서 자금경색을 야기했다는 지적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은 "메리츠금융의 경우 MBK에 1조2000억원이 묶여있는 상태"라며 "담보가 존재하나 당장 처리할 수 없는 상태이기에 시장에 돈이 돌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리츠금융이 원금 회수를 위해선 부동산 자산을 매각해야 하지만 쉽지 않은 상태다. 단순 금융논리로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복잡하게 얽힌 실타래를 풀 수 있는 최선은 김병주 회장의 사재출연이다. 업계에서 거론되는 사재출연 규모는 1조5000억원에서 2조원 수준이다.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오는 6월 12일로 그 이전에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한 가안이 나와야 채권단 설득이 가능한 상황이다.
또 다른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사모펀드에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하지만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면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MBK와 홈플러스는 금융당국의 지적에 대해 언급을 자제했다.

뉴스웨이 임주희 기자
ljh@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