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8일 화요일

  • 서울 11℃

  • 인천 10℃

  • 백령 7℃

  • 춘천 14℃

  • 강릉 16℃

  • 청주 15℃

  • 수원 12℃

  • 안동 10℃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15℃

  • 전주 14℃

  • 광주 10℃

  • 목포 12℃

  • 여수 12℃

  • 대구 14℃

  • 울산 15℃

  • 창원 13℃

  • 부산 13℃

  • 제주 14℃

‘방만경영’ 공공기관장 절반은 ‘관피아’

‘방만경영’ 공공기관장 절반은 ‘관피아’

등록 2014.05.06 09:42

박지은

  기자

공유

‘세월호 참사’의 원흉으로 지목된 ‘관피아(관료+마피아)’가 공공기관 방만·무책임 경영의 배경이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민주·한국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를 통해 확인한 결과 정부가 지정한 38개 방만경영 중점관리 대상 기관장 38명 가운데 18명(47.4%)이 ‘관료 출신 낙하산’, 이른바 관피아였다.

한국무역보험공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중부발전·한국전력공사·한국광물자원공사 등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출신이 내려않았다.

또 한국거래소·한국투자공사·한국예탁결제원·한국조폐공사·예금보험공사 등에는 기획재정부 출신이 각각 수장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부산항만공사(해양수산부), LH·철도시설공단(이상 국토교통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농림수산식품부), 그랜드코리아레저(문화체육관광부) 등에도 해당 부처 관료 출신이 한 자리씩 차지하고 있다.

한국마사회(감사원)·한국가스기술공사(중앙인사위원회)·지역난방공사(정치인) 등은 업무와도 상관없는 낙하산이었다.

경영에 참여하는 임원의 낙하산 실태도 심각했다.

상임감사는 36명 가운데 19명(52.8%)이, 비상임이사는 238명 가운데 74명(31.1%)이 관피아였다.

상임이사는 121명 가운데 22명(18.2%)으로 그나마 관피아의 영향을 덜 받는 축에 속한다.

이들 관피아(총 133명)는 기획재정부 출신이 42명(15.8%)으로 가장 많고 산업통상자원부(40명·15.0%), 국토교통·해양수산부(38명·14.3%), 감사원·군(각 22명·8.3%), 대통령실(14명·5.3%) 등의 순이었다.

박지은 기자 pje88@

관련태그

뉴스웨이 박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