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서울 자치구 중 한 달 매물 감소율 1위대책 발표 이후 강남3구 집값 상승폭 '반토막'"수요억제보단 공급 확대 중심 정책 전환 필요"
정부가 6.27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지 한 달이 된 가운데 서울 집값을 견인해온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상급지' 지역은 매수세가 급감하며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지난 25일 기자가 찾은 강남3구 일대 공인중개사들은 정부의 6.27 대책 발표 이후 매매거래가 사실상 '뚝' 끊겼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가계부채와 집값 안정화를 목적으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강력한 수요억제책을 내놨다. 이에 따라 집값이 높은 서울 상급지를 필두로 직격탄을 맞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방문한 강남 대치동의 한 공인중개업소는 오전 내내 손님이 없었고, 매수나 상담 문의 전화도 전혀 오지 않았다.
대치동 공인중개사 사무소 대표 A씨는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거래가 이뤄졌는데, 대책 발표 이후에는 매수 문의조차 거의 사라진 상황"이라며 "강남3구는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다시 묶이면서 실거주 의무까지 생긴 데다, 대출 한도까지 줄어들어 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강남3구 등 상급지 집주인들은 자금이 여유로운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급하게 매물을 내놓을 이유가 없다"며 "일부 집주인들이 매물을 다시 회수하는 '매물 잠김' 현상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 집값을 주도하는 서초구 대장 단지 '래미안 원베일리' 인근 한 공인중개사는 "이 지역 집주인들은 정부의 집값 규제를 겪은 게 한두 번이 아니기 때문에 이 정도로 급매를 내놓지는 않을 것"이라며 "지금 분위기는 거래 절벽이라기보다 '버티기' 장세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전세 시장도 신규 문의는 거의 없고 계약 갱신 위주로만 거래가 나오고 있다"며 "이사철도 아닌 데다 정부 대책에 따른 영향이 겹치며 전세 시장이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뚜렷한 관망세에 접어든 강남구 부동산 시장은 아파트 매물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 자료를 보면, 이날 기준 강남구 아파트 매물은 6066건으로 한 달 전(6865건)보다 11.7% 감소했다. 이는 서울 전체 자치구 중 가장 큰 하락 폭이다. 같은 기간 서초구는 5297건에서 4883건으로 7.9% 줄었고, 송파구 역시 4010건에서 3785건으로 5.7% 감소했다.
대책 발표 후 강남3구의 집값 상승폭도 눈에 띄게 둔화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초구의 아파트 값 상승폭은 지난달 23일 0.77%였으나 한 달 뒤인 이달 21일에는 0.28% 오르며 상승폭이 줄었다. 같은 기간 송파구는 0.88%에서 0.43%로 감소했다. 강남구는 0.84%에서 0.14%로 줄며 강남3구 중 가장 낮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강력한 대출 규제 여파로 당분간 상급지를 포함한 서울 집값이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정부가 가계대출과 집값을 잡기 위해 강력한 수요억제책을 내놓은 만큼, 올해 하반기까지는 서울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집값 하락으로 분양사업이 위축되고, 건설사의 주택공급 물량이 줄어들게 되면 중장기적으로는 공급 물량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수요억제책보다는 공급 확대 중심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재성 기자
lj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