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김혁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미유럽팀 부연구위원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 '팜클래스'를 통해 트럼프 당선자가 산업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트럼프 당선자의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인식은 당선자의 공약집 역할을 했던 '아젠다47'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며 "전체 47개 의제 중 무려 3개 의제가 제약바이오산업에 집중하고 있는데, 그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라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트럼프의 제약바이오산업에 인식은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눠 볼 수 있다. 하나는 ▲대형 제약회사(Big Pharma)가 미국으로부터 부당하게 이윤을 착취하기 때문에 미국 약가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대형 제약회사가 다른 국가에는 약가를 낮게 책정해 미국이 부당하게 이용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인식에 기인해 지난 1기 행정부에서는 최혜국 대외 원칙(MFN Rule)을 제기했던 '행정명령 13948'과 미국 내 공급망 강화를 위한 '행정명령 13944'를 내린 바 있다. '행정명령 13948'은 제약사가 의약품을 공급하는 OECD 국가 중 가장 저렴한 수준으로 미국 메디케어에 공급해야 함을 의미한다. '행정명령 13944'는 연방정부 조달시장에서 핵심 의약품에 대해 '미국 내에서 생산된' 제약 품목만을 허용하도록 한 것으로, 우리에게 다소 민감할 수 있는 조치를 동반하고 있다.
2기 행정부에서는 약가인하, 미국 내 공급망 강화 정책 등 이전 행정부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으로 보여 대응이 필요하다고 김 위원은 제언했다.
긍정적인 점은 중국에 대한 규제 강화 움직임이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미국 내 활동에 대한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거란 점이다. 약가를 낮추기 위한 정책들이 강제성을 띠고 있어 실제 추진 가능성은 미지수지만, 전반적으로 바이오시밀러 및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강화돼 해당 분야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는 게 김 위원의 설명이다.
또 더욱 효율적인 공급을 위해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의 역할도 중국 견제 정책 강화와 함께 미국 내에서 주목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미국 내 생산에 대한 의무 역시 강조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현재 미국 시장에 진출해 있는 국내 기업들을 살펴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개발(CDO)과 판매법인을 운영하고 있고, 셀트리온도 미국 판매법인을 운영 중이다. SK바이오팜은 미국법인을 통한 직판 네트워크를 구축해 두었고, LG화학은 미국 제약바이오 기업인 아베오(Aveo)를 인수한 바 있다.
유한양행은 유한USA를 통해 글로벌 연구센터, 바이오텍 스사트업, 제약 기업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있으며,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BMS의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하고 해당 시설에 4800만 달러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을 포함, 외국계 기업의 미국 연방 조달시장 참여는 대부분 미국 밖에서 제조된 의약품에 상당 부분을 의존하고 있다. USA 스펜딩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약물 관련 조달시장 규모는 776억 달러(113조8159억원)에 달하며 이 중 외국계 기업의 계약 규모는 대략 10%(77.8억 달러)에 불과해 해당 계약 중 1/4만이 미국 내에서 제조됐다.
한국 기업의 경우 셀트리온USA와 SK라이프사이언스가 미 연방정부와 계약한 건이 있지만, 전반적으로 한국 기업이 조달시장에서 주 계약자로서 활발하게 참여한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이같은 현상을 미국 내 제약바이오 공급망 강화를 위한 극복 과제로 주목할 수 있다. 다만 국내 기업들은 독자적 공급망 구축보다 미국 내 기업들과 협력 방안을 찾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고 김 위원은 설명했다.
그는 "우리 제약바이오기업의 경우 아직 독립적으로 미국 연방 정부 조달시장에 참가하는 사례가 드물다"며 "미국 내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미국 내 생산 기반을 강화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이어 "같은 맥락에서 미국 내 독자적 공급망 구축보다는 미국 내 토종 기업이나 미국 외 유수의 제약 기업과 합작을 통해 진출하거나 미국 내 기업을 직접 인수하는 방안 등이 제시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향후 제약바이오산업의 거대한 지형 변화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 기업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기업은 미국 정부나 의회를 상대로 한 대관 기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미국 투자 시 최대한 미국 연방 정부나 주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시시각각 변하는 미국의 정책에 대한 정보 수집 기능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뉴스웨이 유수인 기자
sui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