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미국의 대(對)중 10% 추가 관세가 미국 동부시간 기준 4일 0시부터 발효되자 비슷한 시간에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관세를 추가로 부과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국 IT 기업인 빅테크 구글에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를 개시했고 미국의 추가 관세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
중국 정부가 이날 발표한 대미 보복관세 대상 품목은 총 80개다. 석탄과 LNG에는 15%, 원유·농기계·차량 등에는 10% 관세를 매긴다. 텅스텐, 텔루륨, 비스무트 등 관련 품목에 대한 수출도 통제한다는 방침이다. 이들 물질은 무기나 전자기기 등에 활용되는 희소금속들이다.
위원회는 "미국의 이 같은 일방적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것"이라며 "(미국의) 자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중미 간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을 훼손한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산 수입품에는 현행 관세율에 상응하는 관세가 추가되고, 현행 보세·감면 정책은 변경되지 않고 이번에 추가되는 관세는 감면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중국의 보복 관세 조치는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예고 대로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이후에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예고했던 '25% 전면 관세'는 한 달간 전격적으로 유예했다. 다만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는 계획대로 4일 0시를 기해 발효된 것이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 발효 시점이 오는 10일이라는 점에서 양국 정상 간 전화 통화 등을 통한 극적 타협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이 미국산 수입 비중이 크지 않은 원유와 LNG 등을 겨냥했다는 점도 대화 여지를 남겨둔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미국산 원유는 약 60억달러(8조7600억원)어치로 전체 원유 수입량의 1.7% 수준이다. 중국의 LNG 수입량 가운데 미국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5∼6% 정도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과 관련해 "아마 24시간 내로 대화할 것"이라며 "우리가 합의하지 못하면 중국 관세는 더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