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HBM 흥행에 글로벌 D램 매출 30조 돌파···SK하이닉스 점유율 '껑충'

산업 전기·전자

HBM 흥행에 글로벌 D램 매출 30조 돌파···SK하이닉스 점유율 '껑충'

등록 2024.08.15 18:38

차재서

  기자

공유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HBM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래픽=이찬희 기자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HBM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래픽=이찬희 기자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고부가 D램의 출하량 확대에 힘입어 올 2분기 글로벌 메모리 업계의 매출이 총 30조원을 넘어섰다. 특히 우리나라의 SK하이닉스가 홀로 점유율을 끌어올려 시선을 모으고 있다.

15일 연합뉴스와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D램 업계의 총매출은 229억달러(약 31조원)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 24.8% 증가한 수치다.

트렌스포스는 수익성을 높인 메인스트림 제품의 출하량 확대가 매출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진단했다.

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98억달러(약 13조4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1위를 지켰고, SK하이닉스가 전분기 대비 38.7% 늘어난 79억달러(약 10조8000억원)로 뒤를 이었다. 마이크론의 매출은 45억달러(약 6조원)였다.

다만 전분기보다 점유율을 높인 쪽은 SK하이닉스가 유일하다. 34.5%로 3.4%p 늘리며 삼성전자(42.9%)를 추격했다. 5세대 제품 HBM3E의 인증과 대량 출하로 성장을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트렌드포스 3분기에도 D램 가격이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각 업체가 지난달 PC업체, 클라우드 서비스공급자(CSP)와 3분기 가격 협상을 마무리했는데, 기대 이상의 결과를 얻었을 것이란 분석이다.

그러면서 3분기 D램의 계약 가격 인상률을 기존 전망치보다 약 5%p 높은 8∼13%로 상향했다.

이밖에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가 현재 공장에서 HBM3E 웨이퍼 생산을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