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 서울 30℃

  • 인천 29℃

  • 백령 25℃

  • 춘천 29℃

  • 강릉 28℃

  • 청주 30℃

  • 수원 28℃

  • 안동 31℃

  • 울릉도 27℃

  • 독도 27℃

  • 대전 31℃

  • 전주 30℃

  • 광주 26℃

  • 목포 28℃

  • 여수 29℃

  • 대구 32℃

  • 울산 26℃

  • 창원 29℃

  • 부산 27℃

  • 제주 27℃

산업 일본도 EU도 '15%'···현대차, '운명의 나흘'

산업 자동차

일본도 EU도 '15%'···현대차, '운명의 나흘'

등록 2025.07.28 15:12

신지훈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미국·EU·일본이 자동차 수입품에 15% 관세 합의

15% 자동차 관세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는 추세

한국은 협상 난항으로 위기감 고조

숫자 읽기

EU산 자동차 관세율 기존 27.5%에서 15%로 인하

일본산 차량도 15% 관세 적용

관세 역전 시 한국차 대미 수출 최대 22% 감소 전망

어떤 의미

한국차의 가격 경쟁력 약화

미국 시장에서 한·일·유럽 3자 경쟁구도 재편 우려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 북미 성장세 타격 가능성

자세히 읽기

현대차그룹, 하반기 미국 시장 점유율 방어 집중

고부가가치 모델 판매 확대 전략 추진

미국 내 생산차 미국 판매, 부품 현지화 등 대응책 마련

주목해야 할 것

정부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자동차 업계 향방 결정

부품 현지화·공장 운영 방식 등 구조적 변화 불가피

글로벌 자동차 시장 경쟁 구도 변화 지속

일본·EU, 미국과 15% 관세 타결 美시장 관세 역전, 수출 급감 위험현대차 그룹, 북미 방어 전략 강화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도 미국과 자동차를 포함한 수입품에 대해 15%의 관세를 일괄 적용하기로 타결하며 '15% 자동차 관세'가 주요국가들의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본격적인 협상을 앞두고 있는 한국 입장에서는 자동차 15% 관세를 미국으로부터 얻어내지 못할 경우 미국 자동차 시장의 '빅3' 수출국이란 입지가 흔들림과 동시에 한·일·유럽 등 3자 경쟁구도가 재편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약 한 시간 회동한 뒤 '15% 관세율'에 합의했다고 각각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으로 수출되는 EU산 자동차에도 15%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EU산 자동차 제품에는 현재 기존 2.5%에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수입 자동차에 도입한 25% 품목 관세를 더해 총 27.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이번 협정으로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12.5%포인트(p) 낮아지게 된 셈이다.

유럽의 대미(對美) 수출 주력 업종으로 꼽히는 자동차 업계 입장에서는 '최악'은 일단 면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앞서 지난주 일본이 얻은 15%의 자동차 관세율과 동일한 관세율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판을 확보했다는 분석이다.

반대로 한국은 일본과 유럽과 비교해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으며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한국차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과 유럽산보다 평균 5% 가량 저렴한 가격이 경쟁력이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에 있는 HMGMA 준공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에 있는 HMGMA 준공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당장 일본산 차량은 15%로 관세가 내려가며 한국차보다 한 대당 가격이 약 3000달러(약 400만원)가 저렴해질 정도로 경쟁력이 강화됐다는 분석이 나오는 상황에서, EU산 차량 또한 관세 할인 효과를 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협상 실패에 따른 관세 구조 불평등으로 미국 시장 재편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이유다. 관세 역전 시 한국차의 대미 수출이 최대 22% 감소할 수 있다는 무역협회 분석도 나왔다.

미국을 세계 최대 수출 시장으로 두고 있는 현대차그룹도 정부의 협상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성장세에 있는 북미에서의 타격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회사 내부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때와 같이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하반기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방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하이브리드 등 고부가가치 모델 판매에 최대한 집중해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차를 최대한 미국 내에서 판매한다는 전략도 마련했다. 정성국 기아 전략투자담당 전무는 지난 25일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미국 조지아 공장 등에서 생산해 각국으로 수출하던 물량을 최대한 미국 현지 물량으로 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부품 현지화도 추진한다. 단기적으로 부품 소싱 변경을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전사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전략적인 부품 현지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태스크포스팀(TFT)을 가동한 가운데 총 200여개 부품을 두고 최적의 조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