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생산 물량 미 시장 우선 공급""하반기 시장 점유율 목표 6% 대""수출 물량 재조정 관세 부담 최소화"
25일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전무)은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올 하반기 북미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모색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본부장은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물량을 캐나다 등 다른 지역으로 돌려 수출 전략을 조정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아는 이와 동시에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을 늘리는 데에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한 핵심 차종으로는 카니발과 K4를 꼽았다. 기아는 올 2분기 지난해 출시한 카니발 하이브리드와 K4 등으로 미국 시장에서 전년 대비 4.1% 성장한 판매대수를 기록했다.
김 본부장은 "상반기 미국 시장 점유율을 5.1% 정도 유지했는데 하반기에는 6%를 확보할 수 있도록 운용 전략을 세워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며 "하이브리드 차량 수요가 많고, 특히 카니발의 경우 너무 많은 시장에서 공급 요청이 있어 적기에 대응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며 "K4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하반기에도 이 같은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또 유연 생산 운영을 통해 시장 수요 및 규제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스포티지와 쏘렌토, 카니발 등 볼륨 레저용차(RV) 종의 하이브리드 공급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제고할 방침이다.
기아는 관세 위기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 모멘텀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김 본부장은 "관세는 기아만의 이슈가 아닌 전세계 기업들이 당면한 사업환경"이라며 "외부 요인을 핑계로 물러나거나 주저앉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는 관세지만 다음에는 또 다른 외부 요인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 그럴 때마다 기아가 잘할 수 있는 부분을 고민하고 장기적으로 접근해 사업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혼류 생산 등 잘할 수 있는 영역에 집중해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외부 리스크가 사라졌을 때 '이렇게 (기아가) 강해졌구나'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아는 이날 발표한 2분기 실적에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5% 늘어난 29조3496억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24.1% 감소한 2조7648억원으로 집계됐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신지훈 기자
gam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