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28일 토요일

  • 서울 19℃

  • 인천 22℃

  • 백령 20℃

  • 춘천 17℃

  • 강릉 18℃

  • 청주 21℃

  • 수원 20℃

  • 안동 21℃

  • 울릉도 23℃

  • 독도 23℃

  • 대전 21℃

  • 전주 21℃

  • 광주 21℃

  • 목포 22℃

  • 여수 24℃

  • 대구 22℃

  • 울산 21℃

  • 창원 23℃

  • 부산 23℃

  • 제주 22℃

주인없는 대우건설 결국 총체적 난국 빠지나

주인없는 대우건설 결국 총체적 난국 빠지나

등록 2017.06.20 09:20

수정 2017.06.20 21:50

김성배

  기자

공유

2대주주 IBK 등 잇따른 블록딜 주가 악재로올 10월까지 매각하려던 최대주주 산은 당혹문재인 정부 들어서 각종 정치리스크에도 휘말려정부마저 고강도 부동산 대책···실적마저 불투명

주인없는 대우건설 결국 총체적 난국 빠지나 기사의 사진

대우건설이 정치 리스크 등 악재가 터지면서 총체적 난국 상황에 빠질 조짐을 보여 파장이 예상된다. 최근 8000원대까지 치솟았던 주가가 IBK-케이스톤PEF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등 여파로 다시 고꾸라지고, 올 10월 매각이슈 성공이 불투명해지는 건 서막에 불과하다. 지난달 정권이 바뀌면서 대우건설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 리스크가 대두되는 등 정치권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최근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투기 대책 등으로 주택사업 강자인 대우건설에 사업적으로도 험로가 예상되서다.

20일 건설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주택공급실적 7년 연속 1위를 기록한 대우건설은 올해 상반기 도시정비사업 수주에서도 1위(1조8883억원)에 랭크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특히 해외실적을 포함한 1분기 실적은 물론 2분기에도 2500억원에 이르는 영업이익이 예상되는 등 경영성과도 나쁘지 않은 모양새다. 이는 지난해 딜로이트안진 회계법인의 감사의견 거절은 물론 지난해 4분기 7700억원에 이르는 어닝쇼크까지 경험하는 등 뿌리째 휘청거리던 모습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하지만 대우건설이 겉보기와 다르게 돌발 악재가 연달아 터지는 등 대내외적인 리스크로 진퇴양난에 처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오는 10월 매각 성사 가능성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빅베스(대규모 손실처리)로 올 초까지만 해도 5000원대 박스권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던 주가가 최근 8000원대를 돌파하는 등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대우건설 매각행보가 가벼워지면서 새 주인을 찾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란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최근 IBK-케이스톤 PEF(에스이비티투자유한회사) 등의 블록딜 암초를 만나 주가 상승기류가 꺾이면서 매각 이슈에 돌발 악재가 발생한 것. 실제 업계 따르면 대우건설의 2대 주주인 IBK-케이스톤 등은 이르면 내달 3차 블록딜에 나설 예정이다. 에스이비티는 앞서 지난 2012년 8월 대우건설 지분 12.28%를 사들여 2대 주주에 올랐다. 이들은 4년여 간 지분을 보유하다가 지난 4월 2차 블록딜(1.68%)에 이어 지난달 2차 블록딜(5.78%)로 털어낸 데 이어 3차 블록딜로 나머지 지분 모두를 처분해 투자금 회수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런 잇따른 블록딜 추진은 대우건설 주가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실제 지난 1, 2차 블록딜이 진행될 때 대우건설 주가는 각각 4.64%, 6.28%나 내려앉았다. 주가를 1만원 이상으로 끌어올려 오는 8월 매각 주간사를 선정하는 등 대우건설 매각에 박차를 가하려했던 산업은행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정치권 리스크도 부상하고 있다. 지난달 정권이 박근혜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로 바뀌면서부터다. 대우건설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공공 금융기관이다보니 혹시나 있을 정치적 리스크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산은을 지휘, 감독하는 금융위원회는 산은의 비금융자회사 매각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대우건설이 산은의 비금융자사회인만큼 바뀐 정부에서도 새로운 지침을 하달할 수 있다보니 산은은 물론 대우건설도 전쟁터와 같은 건설시장에서 경영보폭을 가볍게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의미다. 최치훈 사장이 이끄는 삼성물산이 래미안 사업을 재개하거나, 정수현 사장이 진두지휘하는 현대건설이 강남에서 디에이치로 활약하는 등 경쟁사들의 적극적인 사업 행보와 다르게 소극적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정부의 부동산 규제책 발표 등 전방위 압박도 아킬래스건이 될 수 있다. 기존 대우건설은 2010년 이후 7년연속 주택공급실적 1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주택사업의 강자로 알려져 있다. 올 상반기 최대어 중 하나인 과천주공 1단지 재건축 수주 등 올해에도 재건축 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 수주고 1위를 달리면서 국내 주택사업 대표주자로 활약하고 있지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책에 발목을 잡힐 가능성이 적지 않다.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등 정부는 이날 강남 부산 등 이상 과열 지역을 겨냥한 금융과 청약규제 강화 등 핀셋 대책(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발표해 분양 시장 잡기에 나선 바 있다. 최근 몇년간 주택경기 호황으로 올해 어닝 서프라이즈 등 호성적을 거뒀으나, 앞으로는 실적 상승 기류가 꺾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대형건설 등 건설업계 모두 정치 리스크에서 자유롭긴 어렵다. 하지만 산업은행이 경영, 관리하는 대우건설은 유독 정치 리스크에 취약할수밖에 없다. 주인이 없어 늘 바람잘 날 없는 대우건설에 대해 이제 제대로된 주인을 찾아줘 국내외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