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삼성전자 이사회가 정기주총 소집 결의를 통해 승인한 이사 후보 선임의 건에 대해 이사회 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지난 18일 삼성전자 이사회는 현재 9명 이사(사내이사 3명, 사외이사 6명) 중 임기가 만료되는 김준성, 허은녕, 유명희 사외이사의 연임을 결정하고, 이혁재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를 신임 후보로 선임했다. 사내이사로는 전영현 대표이사 부회장과 송재혁 사장을 신임 후보로 선임하고 노태문 사장의 연임을 결정했다.
포럼은 "삼성전자가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현재 1명뿐인 반도체 전문가를 3명으로 늘려서 본격적인 경쟁력 회복에 나서겠다고 개편 취지를 밝혔다"며 "이는 이사회 역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시사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선진국에서는 상장사 이사가 되기 위한 기본 조건으로 리더십, 민간기업 경영 경험, 다른 이사회 경험, 자본배치 등 기업거버넌스 개념에 대한 이해 등을 꼽는다"며 "이번에 새롭게 후보로 선임된 이혁재 교수뿐 아니라 기존 사외 이사인 허은녕 서울대 교수, 유명희 전 통상교섭본부장은 앞선 조건들을 대부분을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신규 이사로 '반도체 전문가'를 앞세운 점에 대해서 반도체 전문가는 전영현 부회장 한 명으로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포럼은 "삼성은 이미 수많은 반도체 전문가를 사내에 보유하고 있다"며 "삼성전자가 절실히 필요한 이사는 글로벌, 독립적인 관점에서 쓴 잔소리를 할 수 있는 기업 경영을 직접 경험한 베테랑이다"고 강조했다.
글로벌한 이사회를 구성한 TSMC를 언급한 포럼은 "100% 한국인으로 구성된 이사회는 삼성이 위기에 직면할 때까지 과연 무슨 역할을 했는지 의문이 든다"며 "글로벌한 TSMC 이사회 구성 및 운영을 배워야 하는데 삼성전자의 이번 이사 선임 의안은 매우 실망스럽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독립적인 이사회라면 사외이사 후보의 선택지가 더 광범위해 글로벌한 인재를 대상으로 선택 가능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김다혜 기자
kdh033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