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24일 금요일

  • 서울 7℃

  • 인천 7℃

  • 백령 6℃

  • 춘천 7℃

  • 강릉 6℃

  • 청주 8℃

  • 수원 9℃

  • 안동 10℃

  • 울릉도 6℃

  • 독도 6℃

  • 대전 9℃

  • 전주 9℃

  • 광주 13℃

  • 목포 9℃

  • 여수 11℃

  • 대구 11℃

  • 울산 10℃

  • 창원 12℃

  • 부산 12℃

  • 제주 15℃

미국 금리 인상···국내 부동산 위기로 이어진다

[포커스]미국 금리 인상···국내 부동산 위기로 이어진다

등록 2015.01.28 09:10

수정 2015.01.28 09:14

서승범

  기자

공유

역대초대 가계부채 폭탄 우려···‘하우스푸어’ 속출 예고
수요자 대출부담에 주택대출 기피→집값하락으로 연결
금융권 보수적 경향 띠어 건설사 자금조달도 난항 예상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 부동산 중개소 밀집지역. 사진=김동민 기자 life@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 부동산 중개소 밀집지역. 사진=김동민 기자 life@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됨에 따라 국내 부동산시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국내 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아져 1000조를 넘어선 국내 가계부채가 문제가 될 것으로 보여서다.

또 금리가 높아지면 수요자들이 대출을 피하게 돼, 주택 거래가 줄어들면서 집값이 하락할 것과 건설사들의 유동성이 악화 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8일 미국 언론·은행 등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내렸던 금리를 올해 중순께 다시 인상할 방침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와 낮은 임금상승률 등으로 인상시기가 밀릴 것이란 얘기도 있지만 그럼에도 올해 내에는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결정하게 되면 국내 기준금리 역시 오를 수밖에 없다. 금리 차가 커지면 우리나라에 돌고 있는 외국인 자본이 이자가 높은 타국으로 빠져나갈 게 뻔해, 이를 막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것.

하지만 금리가 인상되면 현 상황의 국내 부동산업계에는 치명타가 될 수 있다.

먼저 금리가 인상되면 역대 최대치까지 늘어난 가계부채가 문제가 될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가계부채는 1060조3000억원. 특히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대출 규제 완화로 가계부채는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가계부채가 사상 최고치를 달성한 상황에서 금리가 인상되면 소비 위축은 물론이고, 늘어난 이자 탓에 ‘하우스푸어’와 ‘렌트푸어’ 등이 더 양산될 수 있다.

주택거래 시장도 더욱 얼어붙을 것으로 예측된다.

앞서 저금리기조와 대출 문턱 완화 등 정부의 매매거래 활성화 정책에 주택거래는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금리가 인상되면 이자가 부담돼 수요자들이 대출을 꺼릴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거래량도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실제 금리가 1% 오르면 2억을 대출받은 사람은 한 해에 200만원의 이자를 추가로 부담해야 된다.

이와 함께 건설사들의 유동성에도 문제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갑자기 큰 폭으로 금리가 오르면 경제가 안 좋아질 수밖에 없어, 금융권도 자기 자본을 확보하기 위해 장기 대출을 금지시키고 원금일부 상환·추가담보 등 대출 규제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여서다.

선대인 선대인연구소 소장은 팟케스트 방송을 통해 “금리가 올라가면 많은 기업이 이자도 감당 못 할 것”이라며 “여태껏 이들은 장기대출연장 등으로 기한을 늘리면서 버티고 있었는데 금리인상이 실현되면 더욱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기 전에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 팀장은 “가계부채가 한계치에 도달한 가정이 상당수다. 이 중 일부는 금리상승으로 상환이 어려워져 파산할 수도 있다”며 “각 리스크를 고려한 대응책을 세우는 것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이복남 서울대 건설환경연구소 교수는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국내·외 건설·부동산 환경이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외시장에서 국내 건설사들의 타격이 클 것으로 생각한다”며 “해외시장에서 발주사들이 대부분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금융을 걸고 오길 원하는데 금리 인상 후에는 이 부분이 힘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건설사들이 스스로 금융을 주선할 수 있는 투자개발형 사업을 개발해야 한다. 시장이 점차 변해가고 있는데 도급사업 위주의 해외시장 공략은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승범 기자 seo6100@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