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년간 착공물량·사업장 줄면서 매출에 본격적 영향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GS건설 등 주요 건설사는 작년 매출보다 낮은 수치를 올해 목표로 제시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올해 매출 목표는 15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매출액 18조6550억원보다 2조7550억원 적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32조694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는데 올해 목표는 이보다 2조3000억원가량 적은 30조3837억원으로 잡았다.
대우건설도 올해 매출 목표는 8조4000억원으로, 작년 매출(10조5036억원)보다 2조원 이상 적은 규모다.
DL이앤씨는 5000억원 이상 축소된 7조8000억원, GS건설은 2600억원가량 줄어든 12조6000억원을 올해 계획으로 제시했다.
대형 건설사들이 하나같이 매출 목표를 낮춘 것은 건설 경기 불황으로 사업장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건설사 착공을 한 이후 공사 진행률에 따라 수주액이 매출에 반영된다.
보통 매출은 해당연도를 포함해 최근 3년 치 누적 공사가 반영되는데 부동산 시장 침체로 주택 등의 2023~2024년 착공 물량이 급감했다는게 건설업계의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1월 기준 국내외 현장이 200곳 이상이었으나 올해 1월 기준으로는 170여 개 정도로 줄었고 대우건설도 약 10% 감소했다. DL이앤씨는 지난해 착공 가구 수가 9119가구였는데 올해는 7940가구로 13%가량 축소됐다.
건설사 관계자는 "국내외 경기나 건설 업황을 볼 때 올해는 조금 쉬어가는 해라고 보는 분위기가 있다"며 "사업 리스크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어서 매출 증대보다는 수익성 관리에 신경 쓰고 있다"고 전했다.
![](https://nimage.newsway.co.kr/assets/image/photo/opinion/jhchul37.png)
뉴스웨이 주현철 기자
jhchul3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