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홍석·강동오 교수팀은 ‘관상동맥중재술 후 잔여 위험요소 평가 (Assessment of residual risk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세션에서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 심혈관계 질환 환자에서 근육감소증이 주요 심혈관계사건 발생에 미치는 영향(Prognostic impact of sarcopenia on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outcomes in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undergoing successfu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을 주제로 우수 포스터 연제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당 연구는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군에서 시술 전후 CT 검사를 통해 확인된 골격근량의 감소가 향후 사망사건 및 주요 심혈관계 사건 발생에 있어 중요한 예측 인자임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참석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서홍석 교수는 “기존 연구들이 골격근량 감소와 관상동맥질환의 연관성을 확인한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해당 연구는 시술 전후 CT 검사를 통해 골격근량을 계측한 결과가 실제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임을 증명하였다. 관상동맥질환군에서 골격근량 감소를 예방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는가에 대해 후속 연구 결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심혈관센터 나진오·강동오 교수·뇌신경센터 김치경 교수 공동연구팀도 ‘뇌졸중: 뇌-심장 연관축 (Stroke: The heart brain axis)’ 세션에서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24시간 활동심전도로 평가한 수면 중 호흡장애가 향후 1년간의 임상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Sleep-disordered breathing assessed by holter-monitoring is associated to worsened one-year clinical outcomes in ischemic stroke patients: a cardiopulmonary coupling analysis)’에 대해 발표해 우수 포스터 연제상을 받았다.
해당 연구는 24시간 활동심전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면 중 호흡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가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향후 1년 간의 허혈성 뇌경색의 재발 및 사망사건을 예측하는 독립적인 요인임을 증명해 뇌경색 환자에서 심전도를 이용한 수면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나진오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심전도 데이터를 이용해 심폐결합분석법(cardiopulmonary coupling analysis)으로 평가한 수면 중 호흡 안정성이 급성 뇌경색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했고 해당 검사는 급성기 뇌경색에서 시행하기 어려운 수면다원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두 포스터 연제 발표를 진행한 강동오 교수는 “유럽심장학회에서 발표한 포스터 연제에서 두 건 모두 상을 받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심장내과 전문의로서 진료와 연구에 모두 정진해 학문발전과 환자 건강증진에 기여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뉴스웨이 안성렬 기자
ansungy064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