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정비
[르포] 2700억원 손실 감수?···딜레마 빠진 한남2구역, 선택은
한남2구역 재개발 사업이 시공사 대우건설과의 계약 유지 또는 교체 여부를 두고 조합원들의 선택을 앞두고 있다. 2700억 원 규모의 손실과 사업 지연 위험 속에서 조합의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고도 제한 완화 실패, PF 대출 문제 등이 중첩되며 법적 다툼과 총회가 임박함에 따라 조합원들의 표심이 주목된다.
[총 4건 검색]
상세검색
도시정비
[르포] 2700억원 손실 감수?···딜레마 빠진 한남2구역, 선택은
한남2구역 재개발 사업이 시공사 대우건설과의 계약 유지 또는 교체 여부를 두고 조합원들의 선택을 앞두고 있다. 2700억 원 규모의 손실과 사업 지연 위험 속에서 조합의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고도 제한 완화 실패, PF 대출 문제 등이 중첩되며 법적 다툼과 총회가 임박함에 따라 조합원들의 표심이 주목된다.
부동산일반
[단독]민간 아파트에 '병력 상주 방공포 진지' 웬 말?···"시민 방패막이 삼나"
서울 내 재개발·재건축 단지의 층수·층고 제한해지에 제동이 걸렸다. 수도방위사령부가 일정 고도보다 높게 지으려면 병력과 무기를 상시 배치하는 방공포대를 지어야 한다고 통보해서다. 전문가들은 민간 거주지를 군사용으로 사용하거나 공격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의 제네바협약 위반 소지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는 최근 서초 진흥아파트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에 관한 군보 심의결과를 서초구청 등 관
도시정비
해발 90m 높이 제한 풀면 남산 가린다?···한남뉴타운 직접 가보니
"당장 주변만 봐도 한남뉴타운보다 고도가 높은 동네와 단지가 수두룩한데 왜 한남뉴타운만 규제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한남뉴타운 조합원) "대우건설이 한남2구역에서 높이 제한 변경 공약을 내세웠다가 계약 해지 위기를 겪은 걸 봤기 때문에 다른 구역에서도 건설사들이 섣불리 높이 변경 이야기를 꺼내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건설업계 관계자) 한강변 대교 중 가장 핵심으로 꼽히는 반포대교와 한남대교. 한남재정비촉진지구(이하 한남뉴타운)은
도시정비
서울 고도제한 풀리는데···건폐율 42% 한남뉴타운은 제외
서울시가 한남뉴타운에 적용하고 있는 90m의 높이규제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일대 주민들은 고도지구 등 다른 높이제한지역에 대한 규제완화를 추진하고 있는데도 한남뉴타운만 규제를 유지하는 것은 역차별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전문가들도 한남뉴타운의 경우 주거쾌적성과 직결되는 건폐율이 다른 수도권 단지대비 1.5배~2배 높기 때문에 규제완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3일 서울시는 오는 6일 7개 고도지구(남산, 북한산, 경복궁, 구기·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