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프미리엄 빌트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본격 론칭출시와 함꼐 마케팅 강화···브랜드 이미지 제고 집중M&A 가능성 열어둬···“적합한 기업 있다면 언제든지”AI 연구 인력 대거 늘리며 차세대 가전 개발에도 박차
LG전자 H&A사업본부장 송대현 사장이 30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송대현 사장은 독자 브랜드의 초(超)프리미엄을 앞세운 프리미엄 전략 가속화를 비롯해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사진=LG전자 제공
송대현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사업본부장(사장)이 현지시간 30일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인 IFA2018이 열리는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송 사장은 초프리미엄 브랜드 가치 제고와 개방형 혁신 등의 전략을 통해 강력한 시장지배력과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축하나가겠다고 강조했다.
LG전자는 먼저 글로벌 시장에서 초프리미엄 브랜드를 대폭 강화한다. 현재 초프리미엄 브랜드로 일반 생활가전에선 LG 시그니처를, 빌트인 주방가전에선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LG전자는 IFA2018에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유럽에 공식 런칭하며 시장 공략을 본격화 한다고 밝혔다.
유럽 빌트인 시장은 약 180억 불로 전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또 밀레(Miele), 가게나우(Gaggenau) 등 역사가 깊은 빌트인 브랜드들의 본고장인데,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가 이번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에서 데뷔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진입 장벽이 높은 초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유럽 명품 가구사와도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또 ‘이닛(Innit)’, ‘사이드셰프(SideChef)’, ‘드랍(Drop)’ 등 레시피 전문업체들과도 폭넓게 협업해 주방 문화를 선도하는 등 다른 빌트인 브랜드와 차별화를 꾀한다.
송 사장은 ”유럽은 시장 자체가 보수적이어서 LG전자는 AI 등 기술력과 디자인으로 차별화하려고 한다”면서 “꿈의 주방을 설계해 놓았구나 느낄 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경쟁상대는 국내 업체가 아닌 유럽의 전통 업체들”이라면서 ”그들의 빌트인 제품의 사후 보장 부분이 부족하다는 것을 찾아냈고, 빌트인 가구를 다 뜯지 않더라도 수리 할 수 있도록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덧붙여 ”B2B사업에 있어서 이런 부분은 설치업자와 유지업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면서 ”이런 점들을 찾아 보강해 나간다면 한반 해볼만하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LG전자는 초프리미엄과 일반 프리미엄이 시너지를 내며 전체 브랜드의 가치가 올라가는 선순환이 가능하다고 보고 초프리미엄이 사업의 양적 확대와 질적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M&A(인수합병) 가능성도 열어뒀다. 송 사장은 “M&A와 관해서는 기본적인 스텐스는 전략과 잘 맞는, 역량이 부족한 부분의 역량을 가진 회사가 있다면 언제든 한다는 입장”이라면서 “B2B사업에 있어서 M&A를 통해 빨리 따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인공지능 분야 연구인력들도 2년 내 두 배 이상으로 늘리고 인공지능 연구조직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부터 CTO부문 산하 소프트웨어센터에 인공지능연구소를 신설하고 음성, 영상, 생체 등과 관련한 센서인식,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인공지능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들이다. 또 올해 초 미국 ‘실리콘밸리 랩’ 산하에 AI 연구조직 ‘어드밴스드 AI(Advanced AI)’를, 이달 초에는 캐나다 토론토에 ‘토론토 AI연구소(Toronto AI Lab)’를 각각 신설하기도 했다.
송 사장은 “LG전자 H&A사업부의 목표가 ‘인류의 삶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하는 것’이다”라며 “공기청정기와 스타일러 등과 같은 새로운 가전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