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래 공정거래위원장은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경제민주화의 정의는 나라마다 다르다”며 “우리의 경우 정당한 활동에 대해 정당한 보상이 주어지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제 민주화의 개념을 확장해서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며 “정년 60세 연장, 대체휴일제, 재벌 총수 연봉 공개, 포괄적 상속증여세 등은 공정거래법상의 경제민주화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은 같은 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경제민주화에는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이 존재한다”며 “수직적 차원은 원청-하청 등 거래당사자 간 불공정거래 등이 포함되고 독일 등과 같은 수평적 차원은 더욱 발전된 차원의 경제민주화로 볼 수 있다”고 역설했다.
경제민주화에는 불공정거래 해소 뿐만 아니라 정년연장 등과 같은 근로자의 권익향상 개념도 포함된다는 의미로, 이는 노 위원장의 경제민주화 개념보다 상대적으로 범위가 넓다.
그러자 노 위원장은 재차 글을 올렸다. 그는 “수평적 경제민주화는 기간산업의 국유화와 노사 공동의 의사 결정 등을 표방하는데 우리의 경제 민주화와는 차이가 크다”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경쟁하고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창희 기자 allnewguy@

뉴스웨이 이창희 기자
allnewgu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